KOREASCHOLAR

매토종자와 현존식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Seed Bank and Actual Vegetation

이명훈, 김용식, 김도균, 박석곤, 신현탁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6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4권 제6호 (2010.12)
pp.638-647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현존식생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소나무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 표토를 채취하여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유리온실로 옮긴 후 매토종자를 스티로폼 상자에 넣어 발아실험을 통해 매토종자 집단의 종조성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표토를 채취한 두 군락의 자생지에서 층위별, 군락별 및 수종별로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토종자에서 두 군락의 초본층에 출현한 식물종이 교목층과 아교목층, 관목층의 식물종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출현하였다. 두 군락 간 매토종자의 종수와 개체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현존식생과 매토종자에 공통으로 출현한 식물종수는 두 군락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매토종자에서 발아한 두 군락의 목본종은 천이중간 또는 후기의 수종보다 선구종 또는 주연부 수종의 발아율이 높았다. 따라서, 군락의 초본층 식물종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우리나라의 동일한 삼림대와 위도를 고려한 군락별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존식생의 선구종 또는 주연부 수종이 매토종자로서 표토에 축적될 가능성이 높고, 이 수종이 매토종자집단의 종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influences the actual vegetation between the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in southern Korea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eed bank in the top soil.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tudied plots and transported to the Experimental Glasshouse at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and examined the germinated species individual numbers with species composition and germinated individual numbers by species. The overall germination status was the highest in the herbaceous layers than the layers of tree, sub-tree and shrub,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and between actual vegetation and seed bank in the two communities. The woody species marked in the seed bank as a pioneer or edge species than in the two communities which are in the stage of mid or late successional species. Although the plant species in the herbaceous layers was highly influenced to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eed bank, but no significantly different was showed within the same forest zone and latitudes of Korean peninsula. As the pioneer or edge species of the actual vegetation possibly will be higher the buried in the top soil layer and this phenomenon will influence overal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population.

Author
  • 이명훈 | Yi, Myung-Hoon
  • 김용식 | Kim, Yong-Shik
  • 김도균 | Kim, Do-Gyun
  • 박석곤 | Park, Seok-Gon
  • 신현탁 | Shin, Hyun-T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