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 분포현황 및 천이 연구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김현숙, 이상명, 송호경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8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5권 제1호 (2011.02)
pp.37-46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산림 식생을 상관조사와 현지식생조사를 토대로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은 4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역 전체의 산림 식생 중에서 신갈나무림이 39.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굴참나무림, 소나무림, 들메나무림의 순으로 차지하여 덕유산국립공원은 타 국립공원의 산림과 비교할 때 들메나무림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덕유산국립공원 식생을 환경구배에 따라 구분하면 낙엽활엽수림(참나무류림, 계곡림), 침엽수림(소나무림), 아고산림(주목림, 구상나무림, 철쭉관목림, 초원) 등 7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고 졸참나무, 서어나무는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 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은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주목은 어린개체와 큰개체의 밀도는 낮고 중간개체의 밀도가 높은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written about the actual vegetation map by researchig current vegetation and on-sit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Current vegeta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42 types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39.08% out of the total forest vegetation, and was dispersed the most widely. Next were Q.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Fraxinus mandshurica forests in order, so that the forests of Deogyusa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nother national parks in that F. mandshurica forest is more widely dispersed. Forest vegetation of Deogyusan national park is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Quercus forest and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P. densiflora forest), and sub-alpine forest(Taxus cuspidata forest, Abies kore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hrub-forest, and prairie). Distribution of DBH of Q. mongolica and Q. variabillis ha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and middle individuals, Q.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ha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F. mandshurica appeared limited to the valley of the sheet an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the development of a climax forest terrain. P. densiflora, Betula davurica, Cornus controversa, B. costata, A. koreana and T. cuspidat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Author
  • 김현숙 | Kim, Hyoun-Sook
  • 이상명 | Lee, Sang-Myong
  • 송호경 | Song, Ho-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