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천연갱신과 관련된 한국산 단풍나무속 6종의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ed Characteristics and Viabilities of Six Acer Species in Relation to Natural Regeneration in Korea

김갑태, 김회진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5권 제3호 (2011.06)
pp.358-36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단풍나무류의 활력있는 종자의 공급량을 파악해 보고자, 2009년과 2010년의 초가을에 단풍속 6수종, 복장나무, 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당단풍 및 단풍나무 종자를 채취하여 종자특성과 종자활력을 조사하였다. 화서형태는 복장나무, 당단풍과 단풍나무는 산방화서(corymb),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는 위가 편평한 원추화서(flat-topped panicle), 부게꽃나무는 총상화서(raceme)였다. 화서당 종자?V의 개수는 부게꽃나무가 38.5개로 가장 많았고, 당단풍이 2.4개로 가장 적었다. 종자직경은 우산고로쇠가 13.5mm로 가장 크고, 당단풍이 4.7mm로 가장 작았다. 시과의 각도는 당단풍이 130.05˚로 가장 크고, 부게꽃나무가 48.60˚로 가장 작았다. 20 시과?V의 건조중량은 우산고로쇠가 3,900mg으로 가장 무거웠고, 부게꽃나무가 404mg으로 가장 가벼웠다. 채종한 단풍나무류 종자의 건전종자의 비율은 단풍나무는 50%, 다음으로 부게꽃나무는 43.2%로 나타났다. 나머지 4 수종은 8.6~22.2% 정도로 나타나, 낙하종자에 대한 설치류의 피식량, 건조의 피해, 낙엽층의 발아방해 등을 고려하면 고로쇠, 우산고로쇠 복장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천연갱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건전종자의 공급량 부족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로쇠, 우산고로쇠, 부게꽃나무 및 당단풍나무의 종피에서 벌레에 의한 천공피해가 관찰되었으며,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의 종자에서는 검정긴꽃바구미(Bradybatus sharpi)가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atural regeneration of six Acer species in broadleaved mixed forest in Korean peninsula, samples of six Acer species' samaras were collected at several seed source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9 and 2010, and se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iability were studied using cutting method. Inflorescense type of Acer mandshuricum(AM), A. pseudosieboldianum(APS) and A. palmatum(AP) is corymb, that of A. pictum subsp. mono(APSM) and A. okamotoanum(AO) is flat-topped panicle, and that of A. ukurunduense(AU) is raceme. Number of seed-set per inflorescense proves the highest value 38.5 sets in AU and the lowest value 2.4 sets in APS. Diameter of the seeds proves highest value 13.5mm in AO, and the lowest value 4.7mm in APS. Angles between the wings proves the highest values 130.05˚ in APS, and the lowest value 48.60˚ in AU. Air dry weight of 20 seed-sets proves highest value 3,900mg, in AO, and the lowest value 404mg in AU. Viable seed ratio of AP proves 50%, and that of AU does 43.2%. Those of other four species ranges 8.6~22.2%. Considering postdispersal seed predators and disturbance of litter, viable seeds of APSM, AO, AM, and APS supplied in the natural forest in Korea might be insufficient for seedling establishment. This study showed that sound viable seed supply might be key factors of natural regeneration of major Acer species in Korea. The openings made by insect pests were observed on the seed-coat of APSM, AM, AU, and APS samara, and Bradybatus sharpi were observed in the samaras of APSM and AO. Further study on the seed insect fauna, pre- and post-dispersal seed viability, and annual variation on these factor should be needed.

Author
  • 김갑태 | Kim, Gab-Tae
  • 김회진 | Kim, Hoi-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