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충남 태안군에서 생육중인 활엽수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Exploring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Broad-leaved Tree Species Growing in Taean-gun, Chuncheongnam-do

김갑태, 추갑철, 류동표, 엄태원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6권 제1호 (2012.02)
pp.39-4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이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군에 생육중인 활엽수종들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을 탐색하고자 67종의 활엽수를 대상으로 방어전략을 결정하는 잎의 형태적 특성, domatia구조, 초식곤충 및 포식응애의 서식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67종 중에서 46종(68.7%)의 활엽수가 domatia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참가시나무와 태산목 등을 비롯한 21종의 활엽수에서는 domatia 구조가 없었으며, 황매화와 서어나무를 비롯한 31종의 활엽수에서는 엽액 사이에 털이 밀생하여 공간을 만드는 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난티잎개암나무와 떡갈나무를 비롯한 12종의 활엽수에서는 pocket 모양구조에 털이 나있는 pocket+tuft type domatia를 지녔고, 왕벚나무와 팥배나무에서는 pocket type domatia를 지녔으며, 아왜나무에서는 pouch type domatia를 지녔음이 확인되었다. 잎 뒷면의 털을 이용한 방어전략으로 태산목에서의 밀융모, 은백양과 포도에서의 밀면모, 보리수나무에서 비늘털 밀생, 칡의 강모 밀생 등이 밝혀졌다. 화외밀선(花外蜜腺; extrafloral nectary, EFN)을 이용한 방어전략은 조사대상 중에서 23종(34.3%)의 활엽수가 이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로 앵두나무, 무화과, 가막살나무 및 서어나무 등이었다. 조사 대상 중에서 40종(59.7%)의 활엽수에서 포식응애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잎에 서식하는 응애 개체수 평균은 떡갈나무에서 23.4마리로 가장 많았다. 잎을 가해하는 미소 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깍지벌레, 혹응애, 총채벌레등이었으며, 총 개체수는 혹응애, 깍지벌레, 진딧물, 총채벌레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포식응애, 말벌, 무당벌레류와 그 애벌레, 진딧벌 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온대 활엽수종에서 상리공생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어전략이 활용되는 경우가 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explore on the defense strategies against hervivory of 67 broadleaved tree specie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f, leaf domatia structure and the number, herbivores insects and mites on the leaves, collected from the trees growing in Taean-gun, Chuncheongnam-do were investigated. 46 broadleaved tree species(68.7%) had the domatia structures, and 21 species including Quercus salicina and Magnolia grandiflora did not. 31 species including Juglans mandshurica and Carpinus laxiflora reveals tuft type, 12 species including Quercus dentata and Corylus heterophylla reveals pocket+tuft type, and 2 species, Sorbus alnifolia and Prunus yedoensis does pocket type, and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does pouch type. Domatia number per leaf proves the highest figures, 23.4/leaf for Quercus dentata. Plant defense strategies using leaf lower-surface trichomes of Magnolia grandiflora reveals dense villous, those of Populus alba and Vitis vinifera reveals dense pilose, that of Elaeagnus umbellata does dense scaly hairs, that of Pueraria lobata does dense strigose. Plant defense strategies using extrafloral nectaries were adapted 23 tree species(34.3%). Observed examples are Prunus tomentosa, Ficus carica, Viburnum dilatatum and Carpinus laxiflora. Predatory mites were observed on the leaves of 40 tree species(59.7%), and mean values of predatory mites was highest values 23.4/leaf in Quercus dentata. Minute arthropods destroying the leaf of broadleaved trees. are such as Periphyllus californiensis, P. viridis, Diaspididae sp., gall mites, thrips, and total numbers observed were odered gall mites, Diaspididae sp., aphids and thrips. Natural enemies of these hervivores arthropods are such as predatory mites, Chilocorus rubidus, Coccinella septempunctata and the nymph, Aphidius erv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fense strategies including protective mutualisms may be frequent in the temperate broadleave trees.

Author
  • 김갑태 | Kim, Gab-Tae
  • 추갑철 | Choo, Gab-Cheul
  • 류동표 | Lyu, Dong-Pyo
  • 엄태원 | Um, T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