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농촌지역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선택과 관리방안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최태영, 권혁수, 우동걸, 박종화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78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6권 제3호 (2012.06)
pp.322-33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원격무선추적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삵의 행동권, 서식지 선택, 개체군 위협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3개체(수컷 2, 암컷 1)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권은 평균 2.64±1.99km2(K 95)와 3.69±1.34km2(MCP 100)이었으며, 핵심공간은 평균 0.64±0.47km2(K 50)를 나타냈고, 겨울철에 추적된 수컷의 행동권이 가장 넓었다(5.19km2, MCP 100). 둘째, Jacobs index에 기반을 둔 Johnson의 서식지 선택모형을 분석한 결과 삵은 2단계 선택(경관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 초지와 논을 선호하고 산림은 회피하는 반면에, 3단계 선택(행동권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는 하천변의 초지를 매우 선호하고 논을 회피하였다. 셋째, 로드킬은 삵의 심각한 개체군 위협요인으로 판단되며, 논의 토지피복 비율이 높고, 하천변에 도로가 존재하며, 산림이 마을 주위에만 소규모로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삵의 개체군 유지가 매우 불안정할 수 있어 이러한 지역에 로드킬 대책과 하천변 초지보호 등의 노력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investigate home range, habitat selection, and threat factors of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 The results based on radio tracking of three leopard cats (two males and one fema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home range of leopard cats were 2.64±1.99km2 (Kernel 95) and 3.69±1.34km2 (MCP 100), and the average size of core areas was 0.64±0.47km2 (Kernel 50). The home range of a male leopard cat that radio-tracked in winter was the largest (5.19km2, MCP 100). Second, the Johnson's habitat selection model based on the Jacobs index showed that leopard cats preferred meadows and paddy fields avoiding forest covers at the second level, whereas they preferred meadows adjacent to streams and avoided paddy fields at the third level. Finally, roadkill could be prime threat factor for the cat population. Therefore, habitats dominated by paddy fields, stream corridors with paved roads, and human settlements with insufficient forest patches could threaten the long-term viability of leopard cat populations. Thus the habitat managements for the leopard cat conservation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road-kill and the installation of wildlife passages in rural highways adjacent to stream corridors.

Author
  • 최태영 | Choi, Tae-Young
  • 권혁수 | Kwon, Hyuk-Soo
  • 우동걸 | Woo, Dong-Gul
  • 박종화 | Park, Chong-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