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산불 유형별 식생회복정도에 따른 현존생물량 비교 Comparison of Biomass by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at Samcheuk-si, Gangwon-do, Korea

임석화, 김정섭, 신진호, 방제용, 양금철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80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6권 제4호 (2012.08)
pp.528-536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4년 동안 강원도 삼척시에서 산불 유형(비산불조사구: 산불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 수관화: 산불에 의해 교목의 수관까지 전소한 지역, 지표화: 산불에 의해 교목의 수관 하층만 전소한 지역)과 산불 후 식생의 재생정도(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1/3이하인 지역: 1, 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1/3 ~ 2/3인 지역: 2, 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2/3이상인 지역: 3)에 따른 현존생물량과 순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비산불조사구(Un),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현존생물량은 각각 181.20±5.39, 62.04±4.38, 131.09±14.83, 63.39±2.72ton·ha-1로 나타났다. 비산불조사구,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순생산량은 각각 4.17±0.56, 3.27±1.56, 11.51±0.53, 2.10±0.31ton·ha-1·yr-1로 나타났다. 각 조사구의 공통수종인 신갈나무의 DH10(지상으로부터 10cm 높이에서의 직경, mm)의 생장률을 비교하여 보면 수관화 발생 조사구(C-1)에서 1.21±0.55mm·yr-1로 가장 높았으며 수관화 발생조사구(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 비산불조사구(Un)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고생장률로 비교하였을 때 수관화 발생 조사구(C-3)에서 15.43±4.57cm·yr-1로 가장 높았으며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지표화 발생 조사구(G-2), 비산불조사구(Un)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compared the different types of forest fires(unburned, crown fire, ground fire) and the degree of vegetation recovery at Samcheuk-si, Gangwon-do by assessing the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from July 2007 through July 2010.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verage biomass of unburned site(Un), crown fire site(C-1), crown fire site(C-3), ground fire site(G-2) were 181.20±5.39, 62.04±4.38, 131.09±14.38, 63.39±2.72ton·ha-1, respectively. And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average net primary production of unburned site(Un), crown fire site(C-1), crown fire site(C-3), ground fire site(G-2) were 4.17±0.56, 3.27±1.56, 11.51±0.53, 2.10±0.31ton·ha-1·yr-1, respectively. Quercus mongolica DH10(Diameter at the 10cm tree height) growth rate at each plot was compared to the crown fire site(C-1) in the annual average 1.21±0.55mm·yr-1 at the speed of the fastest growth follows; showed crown fire site(C-3), ground fire site(G-2), unburned site(Un) appeared in the order. And that showed the growth rate of height was highest in the 15.43±4.57cm·yr-1 at crown fire site(C-3), then the crown fire site(C-1), and ground fire site(G-2), and lowest in the unburned site(Un).

Author
  • 임석화 | Lim, Seok-Hwa
  • 김정섭 | Kim, Jung-Sup
  • 신진호 | Shin, Jin-Ho
  • 방제용 | Bang, Je-Yong
  • 양금철 | Yang, Keum-Ch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