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산림유역의 최상류지역에 위치한 일시하천(ephemeral stream)과 간헐천(intermittent stream)이 상존하는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위의 계절적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3곳의 산림유역(총 12개 소유역)에서 일시하천 및 간헐천의 수변구역 보호를 위한 최적관리기법을 포함하는 4개의 처리구(BMP1, BMP2, clearcut, reference)를 적용하였다. 지하수위는 각 소유역별 25개소(총 300개소)에서 2주 간격으로 측정되었으며, 벌채 전 1년과 벌채 후 2년, 총 3년 동안 관측되었다. 전체적으로 지하수위의 반응은 강우량의 영향이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산림벌채전과 비교하여, 벌채 후 2년 동안 지하수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벌채 1년 후(2008) 개벌처리구에서 28.2cm, 벌채 2년 후(2009) BMP2에서 54.2cm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개벌처리구와 BMP2의 지하수위 변화 특성을 비교할 때, 벌채된 목재의 재적과 지하수위의 변화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벌채로 인한 지하수위의 증가는 ?㎱굇璲? 보다 건조기간 동안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계절적인 추이는 산림벌채 후 식생구조의 차이에서 야기되는 증발산양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ddressed the influence of forest harvesting on seasonal water table dynamics in small headwater riparian areas. Four treatments including potential Best Management Practices(BMPs) for ephemeral and intermittent streams were implemented(BMP1, BMP2, clearcut and reference). Water table measurements were obtained at bi-monthly intervals for 3 years including one year of pre- and two years of post-harvest observations. Overall, water table responses affected largely by rainfall amount. In addition, significant increases in water table levels following harvesting occurred throughout the two post-harvest years. Water table levels increased up to 28.2cm in the clearcut treatment during 2008 and up to 54.2cm in BMP2 during 2009. However, increase in water table eleva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basal area removal despit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basal area removed between BMP2 and clearcut treatments. Water table rises were apparent in that water table were more elevated during dry season(June through November) than during wet season(December through May). These seasonal fluctuations were presumably driven by changes in evapotranspiration caused by differences in leaf area of overstory canopy and understory following harv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