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Dongbaekdongsan(Mt.) in Jeju-do, Korea

곽정인, 이경재, 한봉호, 송지호, 장종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8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7권 제2호 (2013.04)
pp.241-25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m×20m 조사구 20개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ordination, 평균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감탕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곰솔군집, 곰솔-종가시나무군집 등 총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동백동산 암괴기반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 지역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이었고 일정 토심을 유지하는 지역은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였다. 곰솔군집은 동백동산이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되기 이전 훼손된 지역 중 일부 토심이 유지되는 지역에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백동산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과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 모두 향후 종가시나무-동백나무 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상록활엽수군집에서는 1.0268~1.0717이었고 곰솔군집이 1.2102로 가장 높았다. 상록활엽수 10종의 상재도가 80% 이상이었으나 향후 교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실잣밤나무와 생달나무는 출현빈도와 우점도가 낮았다. 고령의 동백나무가 모든 조사구에서 출현했는데 과거 숲이 훼손될 시에도 신성시 여겨져 보호되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동백동산은 기존의 제주도 상록활엽수림과는 다른 식생구조를 보여 천이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이었고 과거 훼손 영향으로 다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와 천이경향을 일부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동백동산은 지속적 관찰이 요구되며, 식생이 안정될 수 있는 기간이 흐른 뒤에 천이방향과 군집특성을 규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ongbaekdongsan(Mt.) in Jeju-do to identify character 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20 plots(size is 20m×20m) were set up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5 communities of Quercus glauc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Ilex integra(Camellia japonica), Quercus glauc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Camellia japonica, Quercus glauca-Camellia japonica, Quercus glauca-Camellia japonica-Pinus thunbergii and Pinus thunbergii-Quercus glauca by using TWINSPAN, DCA ordination, mean importance valu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ith stonny ground is covered with Quercus glauca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in canopy layer and Camellia japonica in the subordinate layer. Area of remaining soil's depth is covered with Pinus thunbergii. It has been alleged that Pinus thunbergii planted by human when Dongbaekdongsan(Mt.) is not selected local monuments. All of communities is predicted success to community of Quercus glauca-Camellia japonica. Shannon's diversity ranged from 1.0268 to 1.0717 in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1.2102 in area of Pinus thunbergii. 10 species of broad-leaved tree's constancy ratio is over the 80%. In futu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and Cinnamomum japonicum can cover canopy layer, but it has low importance value. Specially high aged Camellia japonica is appeared everywhere. It has been alleged that it was touched by divinity since past. Dongbaekdongsan(Mt.) has different plant structure with anothe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t is hard that knowing its successional sere because it was damaged when it isn't degignate local monument. Accordingly continuous monitoring was required, successional direction and community's character is identified after forest become steady.

Author
  • 곽정인 | Kwak, Jeong-In
  • 이경재 | Lee, Kyong-Jae
  • 한봉호 | Han, Bong-Ho
  • 송지호 | Song, Ji-Ho
  • 장종수 | Jang, Jong-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