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오대산의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의 토양 특성 및 습지 연대 분석 Soil Charateristics and Age Estimation of Sohwangby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in Mt. Odae

임성환, 최성철, 황정숙, 최덕균, 추연식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88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7권 제4호 (2013.08)
pp.498-506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 내 이탄습지로 알려진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을 대상으로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두 습지의 생성 연대를 추정하기 위하여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의 토양 pH는 평균 5.5로 조사 시기 및 식물군락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이온 함량은 식물군락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각 식물 군락 내에서 조사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이온 함량과 마찬가지로 치환성 양이온인 Na, K과 Mg 함량 또한 식물 군락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조사 시기에 따른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른 양이온과는 달리 Ca 함량은 식물군락과 조사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과 총질소 함량은 식물군락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물이끼(Sphagnum palustre)가 분포하는 지점에서 두 습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황병산늪과 질뫼늪은 약산성의 bog 습지로 생각되며, 두 습지 토양의 생성 연대를 분석한 결과 소황병산늪은 AD 100년 그리고 질뫼늪은 AD 1448년으로 조사되어 소황병산늪의 생성연대는 AD 100년 그리고 질뫼늪은 AD 1448년 이전에 습지가 형성되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In order to identify soil characteristics and to estimate the age of wetland, soil samples of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known as peatland in Odaesan National Park.were collected and analyzed. Soil pH of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showed average pH of 5.5, and did now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nt community. Total ionic content of soil showed different values among plant communities, but no difference by time in each plant community. Soil exchangeable cations such as Na, K and Mg showed a similar pattern of total ionic content. Unlike other cations, however, Ca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lant community and time. Soil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plant community, and especially showed very low valeus at the place where Sphagnum palustre distribut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Jilmoi wetland can be considered as weakly acidic bog. From age analysis, two wetland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before 100 AD for Mt. Sohwangbyoung wetland and 1448 AD for Jilmoi wetland, respectively.

Author
  • 임성환 | Lim, Sung-Hwan
  • 최성철 | Choi, Sung-Chul
  • 황정숙 | Hwang, Jeong-Sook
  • 최덕균 | Choi, Deok-Gyun
  • 추연식 | Choo, Yeon-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