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습지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과 식물군락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ohamsan (Mt.) Wetland Area of the Surroundings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이상철, 강현미, 최송현, 홍석환, 이수동, 조우, 김지석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67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8권 제1호 (2014.02)
pp.33-4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토함산습지 주변의 산림식생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함산습지 주변을 지형적 관점에서 유역권을 설정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바탕으로 대표되는 8개 군락, 즉,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에 대해 식생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토함산 습지는 해발고 490m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유역권의 면적은 약 236,272㎡이었다. 토함산습지 유역권내 산림의 현존식생유형은 총 1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면적 중 신갈나무림이 78,209.2㎡로 전체면적의 33.10%를 차지하고 있었다. 8개 군락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구(10m×10m) 3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고, 각 군락별로 식생구조를 밝혔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 임령은 30~5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토양산도(pH)는 4.89, 유기물함량은 4.46%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investigate a vegetation structure around Tohamsan (Mt.) Wetland.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on the basis of watershed around that. Vegetation structu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8 representative communities of actual vegetation which were Pinus densifr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Q. serrata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Q. mongolica-Q. serrata community. Tohamsan (Mt.) Wetland is located on 490m above sea level and the area of watershed was 236,272㎡. Vegetation type were divided into 16 types, and the ratio of Q. mongolica community was 33.1% (78,209.2㎡). In order to turn out the structure of 8 representative communties, 32 plots were set up and unit area of plot was 100㎡. The estimated age of forest is 30~50-years-old, and in the resutls of soil analysis, acidity was pH 4.89 and organic matter was 4.46%.

Author
  • 이상철(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ang-Cheol Lee
  • 강현미(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yun-Mi Kang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ong-Hyun Choi 교신저자
  • 홍석환(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uk-Hwan Hong
  • 이수동(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Soo-Dong Lee
  • 조우(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Woo Cho
  • 김지석(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Ji-Su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