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경관자원 가시도가 탐방로 선호에 미치는 영향 -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Preference of the Mountain Trail by the Visibility of the Landscape Resources - Case Study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Korea -

홍석환, 김충식, 류정상, 김지석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06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8권 제2호 (2014.04)
pp.253-26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식생경관의 생태학적 해석을 통한 질적 경관평가방법의 모색을 위해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 형성위계에 따른 우수 경관자원을 추출한 후 추출된 자원의 시각적 노출량과 탐방객의 탐방로 선호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해석을 통해 선정한 우수경관 요소로는 아고산식생대와 고지대 바위군, 계곡 낙엽활엽수림, 암반지역 소나무 토지극상, 대경목군락지, 화목류 및 단풍류 우점군락지, 아고산대 침엽수 군락지이다. 연구 결과 탐방로 선호도와 상관성이 있는 우수 경관자원으로는 대경목군락지의 면적, 화목류 우점군락의 면적, 아고산 침엽수군락의 면적이 탐방로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탐방로의 가시권과 우수 경관자원의 분석을 통해 자연지역에서의 일반적 탐방로의 소개에서 나아가 경관자원의 가시성을 바탕으로 특정 탐방로의 특정 탐방시기를 제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경관자원의 가시성이 탐방로 선호에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자연환경에서 복잡한 경관요소의 종합적인 가시권 면적보다는 특정 경관의 가시권 면적이 탐방로 선호도에 영향을 주며 단순히 자연지역의 넓은 면적이 시야에 들어오는 지역을 선호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methods of qualitative landscape assessment for vegetational landscapes using ecological analysis. The study site was Se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For this study, differing unique landscape resources were categorized and identified according to ecosystems. After identifying the study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l visitor preference and the amount of visible overexposure caused by people to the resources was examined. Landscape resources chosen for ecological analysis at Seoraksan National Park were subalpine vegetation community, high mountain rocks, ombrogenous deciduous broadleaf forest in the valley area, edaphic climax community, big tree community, flowering tree dominant community, autumnal tree dominant community and needle-leaf forest in the subalpine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andscape resource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to visitor trail preference were big tree community area, flowering tree dominant community area, and needle-leaf forest in the subalpine area. As a result of overlapping the analysis of the amount of visible overexposure to the landscape resources and the analysis of preferential use of trails by visitors, guidance for the appropriate season for each trail can be provided. Since a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certain sections of the natural landscapes and visitor preference, ecological impact on landscape resource ecosystems did not appear to cover wide areas of the trails, but was limited to certain areas preferred by visitors.

Author
  • 홍석환(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uk-Hwan Hong
  • 김충식(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Choong-Sik Kim Corresponding author
  • 류정상(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eong-Sang Ryu
  • 김지석(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