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지리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식물화학적 변이 양상 -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 Phytochemical variat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Jiri, Korea - Their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박진희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419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8권 제5호 (2014.10)
pp.574-587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졸참나무(Q. serrata Murray)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식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위도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난다. 중부지방에서는 신갈나무가 해발 100~200m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고재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나 남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발 300m 이하 저지대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졸참나무는 중부지방의 경우 저지대에서 주로 관찰되며 해발 500~700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남부지방의 경우 해발 1,000m이상에서도 관찰된다. 두 종은 분포대가 달라 신갈나무는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서 졸참나무는 주로 낮은 해발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지리산 지역을 위주로 설악산, 소백산, 마니산 등에서 채집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2종 37개체로부터 총 2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4 종류의 acylated flavonoid compound가 동정되었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며, acylated compound인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분포한다는 점에서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과 구분된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또한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고, diglycoside인 kaempferol 3-O-rhamnosylglucoside를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의 개체들은 대체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리산 지역에서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 교배 및 교잡이입 가능성으로 볼 때, 형태적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중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물참나무는 두 종을 부모종으로 하는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분류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vert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 serrata Murray in Korea were recognized and possibility of introgressive hybridization and gene flow between Q. mongolica and Q. serrata in Mt. Jiri was inferred by flavonoid analyses. The most critical factor on distribution patterns was the altitude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condition. A zonal distribution was recognized: Quercus mongolica zone in the upper area and Q. serrata zone in the lower area. In Central Korea, the range of vertical distribution of Q. mongolica was above alt. 100m, almost everywhere, whereas that of Q. serrata was from alt. 0 m to alt. 500(-700) m, and the species is rare above that altitude. But in Southern Korea, Q. serrata is found up to above alt. 1,000 m, whereas frequency of Q. mongolica reduces as elevation in decline and the species is rare below alt. 300 m, even though pure stands being formed on higher mountain slope. Altitudinal distribution of the two species, however, overlaps, where the two species occur together. Thirty-seven individuals of Q. mongolica and Q. serrata in Mt. Jiri and other area were examined for leaf flavonoid constituents. Twenty-three flavonoid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y were glycosylated derivatives of the flavonols kaempferol, quercetin, isorhamnetin, myricetin, and four compounds among the flavonoid compounds were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 quercetin 3-O-galactoside and its acylated compounds were major constituents and present in all individuals. Quercus mongolica is distinguished from Q. serrata by the presence of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 and by high concentration of three acylated compounds,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 quercetin 3-O-galactoside, and by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r lacking of rhamnosyl flavonol compounds. There are intraspecific variations in flavonoid profiles for Q. mongolica and Q. serrata, the flavonoid profiles for individuals of two species in hybrid zone (sympatric zone) tend to be similar to each other,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s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gene exchange or gene flow occurs through the introgressive hybridization between Q. mongolica and Q. serrata in Mt. Jiri. Therefore, Quercus crispula, occupying morphologically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Q. mongolica and Q. serrata, is suspected of being a hybrid taxon of two putative parental species.

Author
  • 박진희(경상대학교 생물학과) | Park, Jin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