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MBTI Personality Types

김윤희, 김동준, 김은진, 연평식, 최병진, 김재근, 김윤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28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9권 제3호 (2015.06)
pp.485-498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위해, 참가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에 기초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선호지표, 심리기질유형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 사이의 관련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일반 성인 남·여 245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검사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통해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본 바,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외향(E)-내향(I)은 호흡법·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 걷기(신발착용), 숲속 웃음치료, 경관보기, 삼림욕·풍욕·일광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감각(S)-직관(N)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사고(T)-감정(F)은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판단(J)-인식(P)은 비전세우기, 경관보기에 대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의 심리기질유형에 따라서,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숲속 잠자기, 경관보기, 숲 해설 듣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need for forest therapy programs has been increasing. For more effective forest healing,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nd develop and operate more targeted and differentiated forest therapy program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personality typ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ments of MBTI and the preference for the forest therapy programs were analyzed respectively in pursuit of the basic data required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healing on the ba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survey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nd MBTI personality tests were conducted for 245 normal adult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obtain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The Extraversion(E)-Introversion(I) types showed differences in technique-based breathing exercises, walking in the forest(wearing shoes), laughter therapy in the forest, viewing the forest, forest bathing, wind bathing and sun bathing. And the Sensing(S)-iNtuition (N) types had marked differences in listening to the sound of water flowing, drinking herbal tea and sleeping in the forest. The Thinking (T) -Feeling (F) types marked differences in soaking hands and feet in water and sleeping in the forest. The Judging (J)-Perceiving (P) types had differences in vision quest and viewing the forest, respectively, in statistics. Depending on the temperament of the charact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s such as drinking herbal tea, eating natural food, sleeping in the forest, viewing the forest and listening to the forest comment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forest healing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Author
  • 김윤희(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Youn-Hee Kim 교신저자
  • 김동준(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학과) | Dong-Jun Kim
  • 김은진(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학과) | Eun-Jin Kim
  • 연평식(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학과) | Pyung-Sik Yeoun
  • 최병진(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Byung-Jin Choi
  • 김재근(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Jea-Kean Kim
  • 김윤수(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Youn-So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