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국립공원 입산시간지정제 정착을 위한 정책 제언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 of a Trekking Time Restriction Policy in National Parks

조우, 성찬용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48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9권 제4호 (2015.08)
pp.636-64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현재 입산시간지정제를 시행하고 있는 7개 국립공원 탐방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입산시간지정제의 정착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의 입산시간지정제에 대한 인지율이 60.7%로, 제도에 대한 홍보는 성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인식하는 재난 안전사고 원인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탐방객의 부주의’, ‘공원 안전관리 부족’, '탐방객 산행 준비 부족‘으로 축약할 수 있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3개 잠재 요인과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고 입산시간지정제 취지에 동의하는 정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재난 안전사고의 원인이 탐방객 산행 중 부주의와 탐방객 산행 준비 부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입산시간지정제 취지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산시간지정제 취지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안전사고에 개인의 책임이 없다고 생각한다는 의미로, 재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공원 내 안전시설 설치보다는 탐방객들에게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주는 홍보에 투자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a policy on trekking time restriction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visitors of seven national parks where the trekking time restriction policy is in force as of 2014. Results suggest that the trekking time restriction policy has been successfully publicized. In total, 60.7%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aware of trekking time restrictions in the national parks they were visiting.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identified three latent factors (visitors’ careless trekking, park rangers’ insufficient management and visitors’ unpreparedness) that the visitors perceived the causes of trekking accidents in the national park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three extracted factors and respond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s that the respondents who read information signs in national parks and who judged visitors’ careless trekking and visitors’ unpreparedness as the causes of trekking accidents tended to agree more with restricting trekking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sitors who do not agree with the trekking time restriction tend to attribute trekking accidents in national parks not to individual visitors, suggesting that educating visitors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trekking accidents in national parks than installing and maintaining safety facilities by park rangers.

Author
  • 조우(상지대학교 관광학부 관광개발전공) | Woo Cho
  • 성찬용(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Chan Yong S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