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학암포 사질조간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os in the sandy shore of Hakampo, Korea

남기웅, 마채우, 손대선, 김종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6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29-735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학암포 사질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 다. 조사 정점의 퇴적물 평균입도는 1.90∅~2.52∅의 범위로 평균 2.37∅으로 나타나 전체 정점에서 전형적인 사질조 간대의 중립사 퇴적상을 나타냈다. 유기물 함량은 0.90%~1.46%의 범위로 평균 1.15%이며, 대부분의 정점에서 사질조 간대에서 나타나는 낮은 유기물 함량 수치가 나타났다. 전체 조사 정점에서 6개의 분류군 총 59종, 출현 개체수는 668inds./㎡이었다. 조사지역의 10개 정점에서 Bray-Curtis index의 유사도(Similarity)를 분석한 결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조간대 상부지역인 St. 2~St. 4, 조간대 중부지역인 St. 5~St. 8, 조간대 하부지역인 St. 9~St. 10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상·중·하부로 나누어지는 공간적인 군집구조 양상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Hakampo sandy shore. As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ampling station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from the sampling stations was 2.37∅with the range of 1.9∅~2.52∅, which represents the typical medium sand sedimentary facies of sandy beach. The average sediment organic content was 1.15% with the range of 0.90%~1.46%. Most stations had low sediment organic content which is typical of sandy beach. The number of species were total 59 from 6 taxa and the individuals was 668inds./㎡in the 10 stations of the study area.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analysis, the 10 stations of the study area were broadly divided into 3 groups. The highest part of intertidal zone was St. 2~St. 4, the middle part of intertidal zone was St. 5~St. 8, and the lower part of intertidal zone was St. 9~St. 10. A spatial community structure was observed which is divided into the highest, middle, and lower parts.

Table Content
서론
연구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Author
  • 남기웅(한국종합환경연구소) | Ki-Ung Nam
  • 마채우(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Chae-Woo Ma
  • 손대선(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Dae-Sun Son
  • 김종춘(순천향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 Jong-Ch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