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소나무 이차림의 대상 벌채에 따른 초기 식생 재생 반응 Initial responses of vegetation regeneration after strip clear cutting in secondary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amcheok, Gangwon-do, South Korea

정세영, 조용찬, 변봉규, 김혜진, 배관호, 김현섭, 김준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6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29권 제5호 (2015.10)
pp.785-790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대면적 개벌의 대안으로서, 대상 개벌은 생산림지의 생태 조건 보전과 임분 재생을 모두 고려하는 작업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상 벌채 기법의 적용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에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소나무림 대상 벌채 (10m, 20m 및 40m) 처리 전・후의 하층식생 반응 및 소나무 재생과 임분 환경 변화와의 상관성을 방형구법을 적용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하층식생 피도 및 종다양성은 대상 벌채 넓이에 상관없이 교목 종 및 광선호 종의 확장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신갈나무, 맑은대쑥 및 산딸기 등의 벌채 후 잔존 교목 및 광선호 종들의 활발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대상 벌채 구역의 소나무 정착은 수관층 환경 (광량 및 수관열림 도) 및 토양나출도와는 정의 상관, 그리고 하층식생 및 임상 목질잔해물의 피도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As an alternative to large-scale clear cutting silviculture, strip clear cutting (SC) is being considered as a system compatible with ecological conservation and forest regeneration. In South Korea,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SCC in varying forest types were rarely found. In this study, under the subject of strip clear cutting lands of pinus densiflora forest at Samcheok, Gangwon-do Province, the developmental aspect of low vegetation prior to and after deforest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pine regeneration were analyzed. The cover rate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appeared to be increased after deforestation and rapidly increased two years after deforestation, and it was evaluated to be affected by vigorous tree species and photophilic spec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ve importance value, Quercus mongolica, Artemisia keiskeana, and Rubus crataegifolius that influence the cover rate showed the inclination of continuous growth. The diversity of species showed increment inclination as well due to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early transient spec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 and generation of pine tree size, the soil exposure rate, intensity of light, and canopy opennes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and the understory vegetation cover and woody debris cover rate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Table Content
서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Author
  • 정세영(경북대학교 대학원 생태환경시스템학과) | Se-Yeong Jeong
  • 조용찬(국립수목원) | Yong-Chan Cho
  • 변봉규(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과) | Bong-Kyu Byun
  • 김혜진(한국산림생태연구소) | Hye-Jin Kim
  • 배관호(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Kwan-Ho Bae
  • 김현섭(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Hyun-Seop Kim
  • 김준수(자연과숲연구소) | Jun-Soo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