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서산지역 금강산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 및 흡수량 Distribution and absorption of Organic Carbon in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Mt. Gumgang in Seosan

원호연, 김덕기, 한아름, 이영상, 문형태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09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2호 (2016.04)
pp.243-25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충남 서산에 위치한 금강산 내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흡수량의 비교를 위해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지상부와 지하부 생물량, 낙엽생산량, 낙엽층의 낙엽량, 그리고 토양의 유기탄소 분포량, 토양호흡량을 측정하 였다. 지상부와 지하부 생물량에 분포하고 있는 유기탄소의 양은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각각 115.07/34.36, 28.77/8.59 ton C ㏊-1이었으며, 임상낙엽층에 각각 4.89, 6.02 ton C ㏊-1, 토양층에 각각 132.78, 59.72 ton C ㏊-1 50㎝-depth가 분포하여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의 전체 유기탄소량은 281.52, 108.69 ton C ㏊-1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소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연간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체에 고정된 유기탄소량은 각각 10.64, 3.64 ton C ㏊-1 이었으며, 낙엽생산을 통해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은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각각 2.83, 2.20 ton C ㏊-1 으로 나타났다. 토양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유기탄소량은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각각 9.77, 5.54 ton C ㏊-1 이었으며, 유기탄소 순생산량과 미생물호흡량의 차이로 추정했을 때 본 신갈나무림과 소나무림에서 연간 대기로부터 순 흡수하는 유기탄소는 3.90, 0.81 ton C ㏊-1 yr-1 로 나타나 신갈나무림의 유기탄소 흡수량이 소나무림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ison of Organic carbon in the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Mt. Gumgang were investigated. Carbon in above and below 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layer, and soil organic carbon were measured from September 2013 through August 2014. For the estimation of carbon cycling,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The amount of carbon allocated to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115.07/34.36, 28.77/8.59 ton C ㏊-1,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in annual litterfall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4.89, 6.02 ton C ㏊-1,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within 50cm soil depth was 132.78, 59.72 ton C ㏊-1 50㎝-depth-1, respectively. Total amount of organic carbon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estimated to 281.52, 108.69 ton C ㏊-1, respectively.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via litterfall in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2.83, 2.20 ton C ㏊-1, respectively.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absorbed from the atmosphere of this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forest was 3.90, 0.81 ton C ㏊-1 yr-1 respectively. Absorption of organic carbon in Q. mongolica forest was remarkably higher than P. densiflora forest.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Author
  • 원호연(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 | Ho-Yeon Won
  • 김덕기(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Deok-Ki Kim
  • 한아름(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Areum Han
  • 이영상(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Young-Sang Lee
  • 문형태(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Hyeong-Tae M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