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생태통로 내부 식생구조에 대한 지표성 딱정벌레류(딱정벌레목: 딱정벌레과)의 반응 Response of Ground Beetles (Coleoptera: Carabidae) to Vegetation Structure in Wildlife Crossings

정종국, 박유정, 이선경, 이효석, 박영균, 이준호, 최태영, 우동걸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09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2호 (2016.04)
pp.185-198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최근 서식처 파편화에 의한 생물다양성 감소를 막고 서식처간 연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건설되는 생태통로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생태통로 내부의 식재 및 식생 유지·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내부 식생 구조 차이에 따른 생물 이동 영향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이용하여 동일한 농업-산림 경관에서 육교형 생태통로 상부 식생이 나지 및 초본으로 이루어진 생태통로(나지/초본형)와 관목림이 우거진 생태통로(관목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하순부터 9월 초순까지 생태통로 및 인접한 산림을 따라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33종 4,207개체의 지표성 딱정벌레류를 채집하였다. 지표성 딱정벌레류의 우점종과 지점별 개체수 및 종수는 생태통로 내부의 식생이 복잡한 관목형이 나지/초본형에 비해 더 높은 경향이었으며, 종 구성은 나지/초본형 생태통로의 종 구성은 인근 산림 지역 및 관목형 생태통로에 비해 다른 특징을 보였다. 이와 유사하게 생태통로 내부의 식생 관리 여부는 토양습도와 교목층 울폐도에 영향을 주었고, pH, 초본층 피도 및 교목층 울폐도는 함정트랩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생태통로 내부의 식생이 복잡해지 면 산림에 서식하는 지표성 딱정벌레류의 산림 패치간 이동 역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생태통로의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로 가장자리에는 관목 또는 교목을 식재하여 은신처 및 이동통로로 제공하고, 중앙부에 는 대형 포유동물이 이동하기 용이한 나지 형태의 통로를 제공하는 형태로 개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orea has put in significant efforts to increase the number of wildlife crossings between fragmented habitats to prevent loss of biodiversity and to encourage the habitat connectivity in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biological data on the effect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se wildlife crossings and guidelines for design and management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in Korea. Therefore, we selected ground beetle assemblages as model organisms to compare the effect of vegetation structure in wildlife crossings, i.e. bare ground- and shrub-type corridors, in agro-forested landscapes. For this study, 4,207 ground beetles belonging to 33 species were collected through pitfall trapping along the northern forest–corridor–southern forest transects from late April to early September in 2015. Dominant species,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ground beet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hrub-type corridors than the bare ground-type corridors. Also, the species composition of bare ground-type corrid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other habitats such as shrub-type corridor and forests. Similarly,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also influenced by vegetation management regimes or trap locations. Collectively, our study clearly indicates that the movement of forest associated ground beetles between forest patches can increase as the vegetation in wildlife crossings becomes complex.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is,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current wildlife crossings that comply with the guidelines may be unfriendly to the movement of ground dwelling arthropods as well as ground beetles.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 of wildlife crossings, the guidelines need to be rectified as follows: 1) Shrubs or trees should be planted along the corridor verges to provide refuge or movement paths for small mammals and ground dwelling arthropods, and 2) Open spaces should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corridors to be used as a path for the movement of large mammals.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Author
  • 정종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Jong-Kook Jung
  • 박유정(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곤충학전공) | Yujeong Park
  • 이선경(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곤충학전공) | Sun Kyung Lee
  • 이효석(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Hyoseok Lee
  • 박영균(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곤충학전공) | Young-gyun Park
  • 이준호(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곤충학전공,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on-Ho Lee
  • 최태영(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Tae Young Choi
  • 우동걸(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 Donggul W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