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덕유산 아고산대 향적봉-중봉 구간 사면에 따른 식물상 비교 Flora Compare by Slope Aspect from Hyangjeukbong to Jungbong in Alpine Zone of Deogyusan National Park

한상학, 김혜진, 신학섭, 박희권, 강혜진, 고승연, 한심희, 홍용표, 윤충원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198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1.11)
pp.158-160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서 론
덕유산은 주봉인 향적봉(1,614m)을 중심으로 망봉
(1,046m), 시루봉(1,105m), 무룡산(1,491m), 남덕유산(1,507m),
거칠봉(1,177m), 칠봉(1,161m), 적장산(1,029m), 두문산
(1,051m), 지봉(1,247m) 등이 있으며 고산준령으로 잇는
능선은 전라북도와 경상남도를 양분하고 있다. 덕유산은
1975년 2월 1일에 덕유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전
라북도의 무주군(170㎢), 장수군(10㎢), 경상남도의 거창군
(33㎢), 함양군(6㎢) 등으로 총 219㎢에 달한다.
덕유산 지역에 대한 식물상은 박만규와 박흥덕(1973), 임
경빈(1994a; 1994b) 및 선병윤과 박정희(1999), 임동옥
(2004) 등 지속적으로 연구되고있으나 덕유산 향적봉-중봉
까지 인접이 빈번한 곳에 위치한 산림을 대상으로 사면별에
따른 식물상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지역 중 향적봉-중봉
구간의 식물상 조사 및 특정식물종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덕유산 지역 식물자원의 생태학적 보전대책과 활용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본 조사지역의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현장식생조사는 3월
에서 8월에 걸쳐 식물 생육기간에 따른 계절성(seasonality)
을 고려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모든 관속식물의 출현종을 기록하고 일부 종은 사진촬영
및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미확인 식물은 실험실로 운반하여
동정하였다.
식물분류와 동정, 식물종에 대한 배열순서는 대한식물도
감의 분류체계로 정리하였고(이창복, 2003), 학명과 국명은
산림청(2003)의 국가표준식물목록과 대한식물도감을 병용
하여 작성하였다.
본 지역의 소산식물 중 희귀식물(국립수목원, 2009), 한
국의 특산식물(국립수목원, 2009)은 산림청이 정한 자료에
의거하였으며,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김철
환, 2000)을 선별하였다.
결과 및 고찰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관속식물문은 모두 52과 126속 168
종 2아종 17변종으로 총 187분류군으로 나타났다(Appendix
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양치식물문은 3목 5과 6속 9종, 나
자식물문은 2목 2과 4속 5종, 피자식물문의 쌍자엽식물강은
22목 41과 96속 124종 2아종 15변종, 단자엽식물강은 4목
4과 20속 30종 2변종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071분류군의 4.6% 에 해당되었다(Table 1).
식물분포에 따른 식물구계(floristics)는 각 지역별 식물
상 고유성의 정도에 따라 고유성이 유사하면 같은 식물지리
학적 범주로 고유성이 다르면 다른 식물지리학적 범주로
구분한다(Takhtajan, 1986). 환경부(2001)에서 식물구계학
적 특정식물종(Specific plant species)을 5개의 등급으로 구
분하여 우리나라 4,200여종의 관속식물 중 1,071종류를 보
고한 바 있다. 등급별로 살펴보면, V등급은 고립 또는 불연
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 IV등급은 4개아구 중 1개의 아
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III등급은 4개의 아구 중 2개의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 II등급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1,000m 이상의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I등급은 4개의 아
구중 3개의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분하였다
(김철환, 2000).
조사지역 내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중 I등급 식물이
14과 17속 17종 17분류군, II등급 식물이 14과 25속 25종
2변종 27분류군, III등급 식물이 9과 11속 12종 12분류군,
IV등급 식물이 3과 3속 3종 3분류군, V등급 식물이 1과
1속 1종 1분류군으로 총 60분류군이었으며, 이는 조사지
일대 전체식물 214분류군의 32%에 해당되었다(Table 2).
전반적인 특정식물의 분포유형은 10,00m의 지역에 분포
하는 고산성식물이었으며, 주목, 사스래나무, 금강애기나
리, 눈개승마, 애기괭이밥, 처녀치마, 나도옥잠화 등이 조사
되었다.
특산식물은 그 나라 식물상의 특이성을 설명할 수 있고,
식물체의 특성, 종자전파, 기후변화, 지각변동, 격리기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정 지역 내 제한된 분포양상을 보이
는 분류군으로 분포 지리학적 견지에서 한정된 지역 내에
적응되어 있는 진화적 극상이다(이우철, 1969). 조사지역에
서 출현한 식물 종 중 특산식물은 9과 11속 11종 11분류군
으로 조사지역 내 분포하는 187분류군 중 약 5.9%에 해당
되며(Table 3), 조사지역의 면적과 식생 등을 고려해볼 때
비교적 적지만 화기의 불일치 및 조사회수의 차이로 생각된
다. 조사된 특산식물 중 특기할만한 식물은 Abies koreana
(구상나무), Salix hallaisanensis(떡버들), Heloniopsis koreana
(처녀치마)등이 있다.
희귀식물(Rare plants)은 자생식물 중 개체수와 자생지가
감소되고 있어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가 필요한 식물로서
본 지역에서 확인된 희귀식물에는 Abies koreana(구상나무),
Clematis koreana(세잎종덩굴), Adenophora grandiflora(도
라지모시대), Streptopus ovalis(금강애기나리) 등으로 희귀
식물은 9과 14속 13종 1변종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인용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덕유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004. 국
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연구원. 68쪽.
국립수목원(2007) 한국식물분류학회.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2009) 특산식물목록. (http://www. nature.go.kr/).
국립수목원(2009) 희귀식물목록. (http://www. nature.go.kr/).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Ⅰ.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박만규, 박흥덕(1973) 무주구천동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5:31-53.
배관호, 김준수, 홍진기, 오승환, 조현제, 윤충원(2009) 봉화군 석포
리 묘봉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2): 35-45.
산림청(2003) http://www.nature.go.kr/.
선병윤, 박정희(1999) 덕유산(무주․거창)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In.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무주․거창의 자연환경, 130-163쪽.
송정호, 허성두, 강규석, 양병훈(2009)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
의 침엽특성 변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1): 31-36.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4) 덕유산 국립공원 내 무주리조트 골프장
예정지 식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18-134.
이우철(1969) 한국특산 식물에 대하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1(2):
15-21.
이창복(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10pp.
임경빈, 김용식, 전승훈, 김선희, 김휘(1994a) 덕유산국립공원의 관
속식물상. 응용생태연구 7:112-117.
임경빈, 김용식, 전승훈, 김선희, 전정일(1994b) 덕유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응용생태연구 7:91-103.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은미, 고명희(2004) 백두대간 덕유산 지
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07-2007.
Diversity and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Picea jezoensis i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Vol 97(2): 187-195.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Ⅳ. 136pp. Stuttgart.
Lee, Seok Woo, Yang, Byeong Hoon, Hur, Seong Doo, Lee, Jung
Joo, Song, Jeong Ho, Yoshinari MoriguchitGenetic(2008)
Takhtajan, A.(1986) Floristic regions of the world. Univ. California
press, London.

Keyword
Author
  • 한상학(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혜진(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신학섭(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희권(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강혜진(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고승연(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한심희(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홍용표(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