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틱 나리의 인편삽으로부터 형성된 자구와 소구의 효율적인 비대를 위한 식재깊이, 배양토 및 야간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육성한 분화용 F1 품종 ‘Deep Red Liasong’과 ‘Yellow Liasong’을 이용하 였다. 자구(직경 8mm)를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였을 때, 자구의 지름은 19.2 ~ 19.6mm, 높이는 21.5 ~ 21.9mm, 생체중은 33 ~ 3.4g으로 자구가 양호하게 비대하였다. 소구 (직경 15mm)의 6cm 깊이 식재는 구의 지름이 28.5mm, 높 이는 27.8mm이었고 무게가 9.2g으로 가장 양호하게 비 대되었다. 자구의 식재 배양토는 인공배양토 80%+부숙왕 겨20%에서 구의 지름이 21.4mm, 높이는 21.1mm였고 생 체중이7.5g으로 자구가 가장 크게 비대하였다. 소구의 비대도 인공배양토 100%와 인공배양토 80% +부숙왕겨 20%에서 양호하였다. 야간온도에 따른 자구의 비대는 10oC와 12oC에서 지름이 17.2 ~ 17.5mm, 높이는 17.8 ~ 18.7mm, 생체중은 4.2 ~ 4.9g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따라 서 자구는 인공배양토와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용하여 3 ~ 4cm의 깊이로 식재하여 동절기 동안 10 ~ 12oC로 유 지하고, 소구는 인공배양토에 부숙왕겨를 80 : 20으로 혼 용하여 6cm의 깊이로 식재하는 것이 구의 비대에 효과 적이다.
The growth of bulblet is usually influenced by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lanting depth, culture soil composition, and temperature. Here, using two Lilium Asiatic F1 Hybrids domestic cultivars, ‘Deep Red Liasong’ and ‘Yellow Liasong,’ it was proved that bulblet enlargement was critically affected by the three factors. When bulblet whose diameter 8 mm was planted at soil depth of 3 - 4 cm, its diameter, height, and weight became 19.2 - 19.6 mm, 21.5 - 21.9 mm, and 3.3 - 3.4 g, respectively. The bulblet (8 mm diameter) planted at soil depth of 1 cm showed the lowest growth rate: diameter 13.4 mm; height 16.0 mm; weight 2.0 g. Meanwhile, bulbet whose diameter 15 mm planted at soil depth of 6 cm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diameter 28.5 mm; height 27.8 mm; weight 9.2 g. The culture soil composition also regulated the subject development. The 8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following culture soil cond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diameter 21.4 mm; height 21.1 mm; weight 7.5 g. The 15 mm diameter bulblet grew most under the same culture soil composition (80% of commercial media + 20% of rice hull) as well as 100% of the commercial media. Night temperature of 10 - 12oC showed the maximum growth rate: diameter 17.2 - 17.5 mm; height 17.8 - 18.7 mm; weight 4.2 - 4.9 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bulblet enlargement requir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