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남해도소하천담수어류군집에관한연구 A Study on the Freshwater Fish Community in the Small Streams in Namhae Island, Korea

한정호, 박찬서, 황호성, 백운기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5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730-74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남해도 일대를 흐르는 소하천들을 대상으로 2014년 6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해도의 23개 소하천의 31개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모두 13과 30속 38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잉어과 (Cyprinidae), 망둑어과(Gobiidae) 어류가 각각 11종(28.9%)으로 다른 분류군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미꾸리과(Cobitidae) 어류가 4종(10.5%)이 출현하였다. 남해도에서 채집된 전체 어류 중 참갈겨니(Zacco koreanus)의 상대풍부도가 30.3%(1,089개체)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한국고유종은 참갈겨니, 긴몰개, 쉬리, 눈동자개, 남방종 개, 왕종개, 미유기, 자가사리 등 8종(33.8%)이었고, 외래도입종으로 큰입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출현하였다.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및 종풍부도 지수로 보면 S7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어류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조사된 남해도 소하천들은 하폭, 수심, 하상 구성물질, 하천식생 및 주변의 토지이용도에 따라 산지형, 산지-평지형, 평지형 소하천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종별 개체수 자료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지점은 인간의 인위적 영향 및 토지이용도에 따라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남해도 소하천의 어류 군집구조는 일차적으로 하상의 종적 환경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일부 소하천에서는 토지이용도에 따른 서식지 변화에 의하여 어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fish fauna and stream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from June to October of 2014 in 31 sites of 23 small streams of Namhae Island. During the study period, 38 species belonging to 30 genera under 13 families were collected. Cyprinidae and Gobiidae fish occupied 28.9% (11 species) and Cobitidae fish accounted for 10.5% (4 species). The dominant family was Cyprinidae,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with 30.3% (1,089 individuals) of the total. Eight species (33.8%) such as Zacco korean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bagrus koreanus, Iksookimia hugowolfeld, Iksookimia longicorpa, Silurus microdorsalis and Liobagrus mediadiposalis were Korean endemic and one species of Micropterus salmoides was exotic.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mmunity based on the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dices, fish community seems to be more stable in the S7. The small strea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steep mountainous, mountainous-flatland, and flat land streams, and their types were categorized by their features of stream width, water depth, bottom substrate, riparian vegetation, and land use pattern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species abundance classified fish communities into three main groups according to human impact and land-use pattern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sh community structures were primary affected by the longitudin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se were modified by the habitat con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land use pattern change in the small streams.

Table Content
서 론
 연구 방법
  1. 조사시기 및 조사지점
  2. 이·화학적 수질특성 및 물리적 서식환경 조사
  3. 토지이용도 및 통계 분석
  4. 어류 채집 및 생태길드 분석
  5. 통계 분석
 결과 및 고찰
  1. 남해도 소하천의 물리·화학적 특성
  2. 어류상
  3. 남해도의 소하천의 물리적 서식지 평가
  4. 어류 군집분석
  5. 어류군집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REFERENCES
Author
  • 한정호(국립중앙과학관) | Jeong-Ho Han
  • 박찬서(국립중앙과학관) | Chan-Seo Park
  • 황호성(국립중앙과학관) | Hosung Hwang
  • 백운기(국립중앙과학관) | Woon-Kee Pae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