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LM벼에 영향을 받는 비표적 생물체(곤충)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 (ERA) 방법 The Methodology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of Non-target Organisms (Insects) on LM Rice

이훈복, 김현정, 나수미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5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4호 (2016.08)
pp.712-723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논문은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생산된 LM벼에 대한 비표적 생물체 중 곤충을 중심으로 한 환경위해성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작성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해 농업 해충관련 도감 및 서적을 활용하였고 참고문헌과 환경위해성 평가 관련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으며, 논문이나 벼와 관련된 서적들을 통해 국내 현황을 참조하였다. 조사결과, 벼에 서식하는 곤충은 약 140여종으로 조사되었고, 초식성 곤충 분류군은 각각 수액섭식자, 곡물섭식자, 잎섭식자, 화분섭식자로 세분화하였다. LM벼에 피해가능성이 큰 비표적 곤충은 12종, 중간인 비표적 곤충은 28종, 경미한 비표적 곤충은 10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종은 11종, 잠재적 해충으로 분류되는 종은 9종으로 나타났다. 위해가설 가설적립단계 모식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LM벼에 악영향을 받기 쉬운 곤충의 지리적 분포, 서식지의 특수화, 확산정도, 종풍부도 등을 이용하여 순위를 매겼으며, 10종(벼총채벌레, 애멸구, 벼멸구, 멸강나방, 혹명나방, 우리가시허리노린재, 먹노린재, 벼멸구붙이, 벼메뚜기, 벼잎굴파리)을 추려내었다. 이후 위해가설 가설정립단계 모식도를 작성하였으며 LM 벼의 비표적 생물에 대한 영향을 추론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자연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존에 기여하고, LMO의 환경위해성 평가, 심사를 통해 사전위해성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작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강 및 생물다양성유지, 자연 생태계 보전을 위한 사후 안전관리 체계구축에 활용될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methods about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ERA) based on non-target insect species for LM rice crop produced by biotechnology. We used some data by the picture dictionary of agricultural pests in Korea, some books for ERA or rice pest ecology, articles about rice ecology, and internet sites and many specialists gave us good advice for this ERA system. We found about 140 insect species using rice crop as their habitat and we discriminated herbivores into Sap feeder, Grain feeder, Defoliator, and Pollen feeder according to their food functional group. We also clarified the potential damage possibility of insect species from LM rice crop. Then, we ranked 10 non-target insect species (Baliothrips biformis, Laodelphax striatellus, Nilaparvata lugens, Mythimna separata, Cnaphalocrocis medinalis, Cletus schmidti Kiritshenko, Scotinophara lurida, Nilaparvata bakeri, Oxya chinensis, Agromyza oryzae) with giving some scores using Geographic distribution, Habitat specialization, Prevalence on crop, Abundance. We showed some environmental risk hypotheses about herbivore, predator, and parasitoid, and infered the impacts of non-target species on LM rice crop. Conclusively, we want to serve this methodology to build the biosafety system from biotechnology crops, and the methodology is to keep public health, sustain the biodiversity, and conserve the natural ecosystems.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LM벼의 환경위해성 비표적 생물체 조사 및 분류
  2. 국내 자연환경위해성에 적합한 LMO 환경위해성평가의 세부 항목 선정
  3. 국내 생물다양성의 위해가능성 여부
  4. 비표적 생물체에 대한 위해가능성 여부 조사
  5. 비표적 곤충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방법의 단계적 모식도
 결 과
  1. LM벼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초식곤충 분류군
  2. LM벼에 영향 가능성 있는 비표적 곤충 분류군
  3. 비표적 곤충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환경위해성 평가방법의 단계적 모식도 및 위해가설
 고 찰
Author
  • 이훈복(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화학·생명환경과학부) | Hoonbok Yi 교신저자
  • 김현정(서울여자대학교 생물학과) | Hyun-jung Kim
  • 나수미(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 Sumi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