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평택항 물동량 증가에 따른 정박지 확장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Anchorage according to increased Trading Volume at Pyeongtaek Port

이창현, 이홍훈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54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6 (2014.12)
pp.663-670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Abstract

평택항은 항만 물동량의 증가로 선박 입항척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향후 대기 정박지의 부족이 예상되고 있다. 정박지와 같은 하나의 수역시설을 변경 및 확장 등 개선하고자 할 경우에는 부근 해역의 타 수역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해당 해역에 대한 향후 선박교통량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수역시설의 규모를 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증가될 항만 물동량을 단위선박 당 처리량으로 계산하여 장래 평택항 선박 입항척수를 예측하였다. 예측한 결과 정박지의 정박 능력을 2030년에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 각 정박지 동시 투묘가능척수인 12.6척과 1.6척을 상회하는 규모로 현 정박지의 확장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각 정박지별 해상교통환경 분석으로 최적의 확장 방안을 검토하여, 입파도 정박지의 경우 정박예상 척수를 19.7척 그리고 장안서 정박지의 경우 정박예상 척수를 12.6척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e Pyeongtaek port is expected lack of waiting anchorage due to increase of incoming ships whit increasing of trading volume in the near future. In case of an anchorage facility’s structural alternations and expansion, it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how it affects other anchorage facilities . In addition, the volume of ship traffic to relevant area should be estimated accurately and then the facility’s scale is calculated. In this paper, researchers calculated cargo per unit ship with the throughput for every ship and predicted the number of ships which had entered Pyeongtaek port. As a result, the port’s ability to be docked was predicted to be not enough in 2030. It will exceed the number of ships able to cast anchor at specific two parts simultaneously 12.6 and 1.6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necessity to expand the ports was suggested. Hence, the best expansion plan was examined with analysis of marin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t each ports and the improvements suggested are anchoring ships at Ippado anchorage is 19.7 and the one at Janganseo anchorage is 12.6.

Author
  • 이홍훈(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Hong-Hoon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창현(목포해양대학교 실습선) | Chang-Hy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