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생활환경 여건이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Influence of Living Characteristics as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홍석환, 이창호, 김지석, 피재황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6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1권 제3호 (2017.06)
pp.329-336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유효응답자수 56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행동을 생활환경 여건과 비교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행동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법률 또를 조례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환경보전의식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실천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에 의한 환경관련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주거형태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실천의식이 높았다. 나이에 따라 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환경보전 실천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실천 강도가 낮았다. 다만 교육수준과 관련해서는 학생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련 의식과 실천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제도적인 대응보다는 환경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환경관련 행동을 위한 정책은 일반화 보다는 성별, 거주유형, 교육수준 등 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living characteristics as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by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to 569 people living in Gimhae city, Gyongsangnam-do, Korea. By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items with high levels of practice were related to legal regulations. However, group who are less interested in preserving the environment have lower performance in all aspects of their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residents were generally aware of the practice of detached house dweller group rather than of apartment dweller. As the age increased, have more willing to practice. While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group do not make environment related behave better. However, it seemed that the student group’s distinct characteristics was reflected in the education level. As this study,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awareness is needed to improve practice of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rather than regal approach. Policy for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is necessary to vary the methodology based on analysis of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residential type and education level rather than generalization.

Author
  • 홍석환(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uk-Hwan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l Univ., Miryang 50463, Korea)
  • 이창호((주)서림엔지니어링) | Chang-Ho Lee (Seolim Engineering co.Ltd., 93, LS-ro 45beon-gil, Gunpo-si, Gyeonggi-do, 15842, Korea)
  • 김지석(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Ji-Suk Kim (Life and Industry Convergenc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l Univ., Miryang 50463, Korea)
  • 피재황(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 Jae-Hwang Pi (Environment & Water Resources Committee, Seoul Metropolitan Council, 15, Deoksugung-gill, Jung-gu, 04515,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