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조간대 복원이 수조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bird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박치영, 신만석, 김호준, 백운기, 이준우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08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0권 제5호 (2016.10)
pp.837-847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 시화호를 대상으로 조간대 복원 전(2009~2011년)과 후(2012~2014년)의 조류군집 양상과 이용분 포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조간대 수조류는 복원 후에 약 4만여 개체가 증가하였다. 대부분 수조류가 증가하였 으며, 잠수성오리류는 감소하였다. 관찰된 각 수조류의 개체수 증감 변동 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요·물떼새류가 복원 전과 비교하여 뚜렷한 개체수 증가를 보였다. 서식지 이용양상의 변화는 복원 후에 가장 넓어진 조간대 면적을 포함하고 있는 남측간척지 조간대와 내수면 조간대 지역으로서 이는 먹이원인 저서생태계의 변화와 연관된다. 복원된 시화호의 저서생태계는 기회종의 감소와 함께 오염에 민감한 평형종의 지속적인 증가로 안정화가 진행되었고 결과적으로 도요· 물떼새류의 서식에 환경적 여건이 개선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조간대의 복원은 수조류의 이용 분포변 화에도 단시간에 영향을 주었다. 복원 전과 비교하여 모든 수조류가 넓은 면적의 조간대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특히 도요·물떼새류와 고니·기러기류의 서식분포에 큰 변화를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력발전에 의한 인위적 인 조간대의 복원이 조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서 수행되었으며, 종다양성 측면에서 조간대의 중요성이 재확인 되었고 현재까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향후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대안의 한 방법으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bird fauna of Sihwa Lake in Gyeonggi Province were investigated from 2009 to 2014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restored intertidal zone on bird community. Based upon the analysis of the habitat status and distribution change of water birds in the intertidal zon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number of water bird individuals increased by approx. 40 thousand after the restoration. Most of water bird species increased, but diving ducks decreased. Analysis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water birds before and after the intertidal zone restora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horebird individuals. There is a habitat use pattern change in the southern tideland intertidal zone that includes the largest area of widened intertidal zone and the inland waters of the intertidal zone. This is related to the change of benthic ecosystem which is the food source of birds. The benthic ecosystem in restoring Sihwa Lake has been stabilized with a decrease in opportunistic species and consistent increase in equilibrium species that are sensitive to pollution.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horebirds have been improved. The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affected the habitat us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water birds 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before restoration, all the water birds now use the wide area of the intertidal zone with no partiality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greatly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shorebirds and swan & geese. This study was conduc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artificial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due to tidal power generation of bird species. In terms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biodiversity, the intertidal zone restoration was recognized to be important and still shows positive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irection when an alternative is required to maintain and improve biodiversity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future.

Author
  • 박치영(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Chi-Young Park (Dept. of Forest & Environmental Resources, Chungnam Univ.,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 신만석(국립생태원) | Man-Seok Shi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210 Geumgangro, Maseo-Myeon, Seocheon-gun 33657, Korea)
  • 김호준(한국수자원공사) | Ho-Joon Kim (K-Water 연구원 K-Water Institute 125 1689beon-gil, YuseongDaero, Yuseong-gu, Deajeon 34045, Korea)
  • 백운기(국립중앙과학관) | Woon-Kee Paek (National Science Museum, 481 Daedeokdaero, Yuseong-gu, Deajeon 34143, Korea)
  • 이준우(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Joon-Woo Lee (Dept. of Forest & Environmental Resources, Chungnam Univ.,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