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북동항로의 법적 문제에 관한 소고 A Legal Study on the Northern Sea Route

박문진, 김민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854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년도 (사)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10.04)
pp.253-258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Abstract

지난해 독일 벨루가 시핑의 화물선 2척이 우리나라 울산항에서 출발하여 사상 처음으로 북동항로 운항에 성 공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북극항로의 상업적 이용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극동-유럽을 연결하는 북동항로가 수 에즈운하를 통과하는 남방항로보다 운항거리를 40%나 단축시킴으로써 새로운 단거리 미래 물류항로로 대두되면서 북동항로 경유해협의 법적 지위, 러시아의 북동항로 법률과 유엔해양법협약과의 충돌 등 법적 문제가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엔해양법협약의 시각에서 북동항로의 주요 법적 문제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As two cargo ships of German Beluga Shipping succeeded in navigation through Northeast passage last year, leaving from Ulsan port in Korea,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use of Arctic passage is getting ever increasing. Also, Northeast passage is newly emerging as a sea route for future logistics transportation based on the generally-accepted fact that Northeast passage can shorten the navigation distance between Far East and Europe by 40%, compared with Southern Route through Suez Canal. Against this backdrop, legal issues on Northeast passage such as legal status of Northeast passage, legal collision of national legislation in Russia with UNCLOS are highly likely to be bone of con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mainly focusing, from the viewpoint of UNCLOS, on legal issues of Northeast passage and their implications.

Author
  • 김민수(한국해양수산개발원 미래전략연구본부) | Min-Su Kim (Future Strategy Research Division, Korea Maritime Institute)
  • 박문진(한국해양수산개발원 미래전략연구본부) | Wen-Jin Piao (Future Strategy Research Division, Korea Maritime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