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대구 자치어 수송에 대한 수치실험 Egg-Larvae Transport of Pacific Cod in Jinhae Bay by Numerical Model

정다운, 이재봉, 배상완, 김동선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1939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년도 (사)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11.11)
pp.33-36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Abstract

한국 연안에서 해수 유동모델과 입자 추적자 모델을 사용하여 대구 자치어의 이동을 파악하였다. 산란지역인 진해만, 영일만 및 강릉 앞바다에서 산란한 대구 자치어가 주변해역의 조류, 수온 및 염분, TWC(Tsushima Warm Current)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석잔차류는 동해연안을 따라 남향하고 이 흐름이 부산-쓰시마 북쪽해역에서 일본 연안쪽으로 흐르 는 흐름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조석잔차류에 TWC의 고려한 흐름은 남해 서쪽과 동쪽의 경계역에서 유입하여 서수도의 쓰시마 연안을 거쳐 북동쪽의 흐름과 동수도로 유입하는 흐름이 부산과 일본 서쪽에서 합류하여 일본 연안으로 북상하여 나타났다. 진해만의 산란지점에서, 조석잔차류에 의한 대구 자치어의 이동은 동해쪽으로의 이동은 작게 나타나고 남해쪽으로의 이동이 우 점하였다. 그러나 TWC의 영향을 고려한 자치어의 이동은 서수도를 지나 일본 연안으로 이동하여 나타났다.

Table Content
요 약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2.1 모델 조건
  2.2 해수 유동
  2.3 대구 자치어 추적
 3. 결과
  3.1 해수 유동
  3.2 대구 자치어 거동
 참 고 문 헌
Author
  • 정다운(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협)) | Da-Woon Jung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Ocean Industri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608-737, Korea)
  • 이재봉(국립수산과학원) | Jae-Bong Lee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Fic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Busan 619-705, Korea)
  • 배상완(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Sang-Wan Bae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608-737, Korea)
  • 김동선(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Dong-Sun Kim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and Development(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608-737,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