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해양변사자 신원확인을 위한 해양경찰의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모델제시 Korea Coast Guard’s Human Biological Materials Storage Project for Identifying Bodies Recovered from the Sea: A Model Suggestion

주현정, 추민규, 백윤기, 김남율, 최아진, 임선영, 이종남, 김형규, 이한성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411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2 (2018.04)
pp.171-178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Abstract

해양경찰은 바다라는 극한 환경에서 임무수행 중 빈번히 사망·실종의 위험에 맞닥뜨린다.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신원확인을 위해 해양경찰연구센터는 해양경찰을 대상으로 DNA를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사체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국립 묘지 안장이 가능한 장치 또한 마련하였다. 순직· 실종 등 대비 신원확인용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운영규칙에 따라 인체유래물의 관리, 보 관, 폐기, 품질검사가 진행되며 이는 관리위원회의 감시하에 행해진다. 한반도 해역에서는 매년 700여건의 해양 변사자가 발생하는데 사체가 늦게 발견되어 부패가 심하거나, 일부분만 발견되어 지문 또는 치아로 개인 식별이 불가능할 경우 해양 변사자의 신원확인을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해양경찰연구센터가 운영중인 ‘인체유래물 보관사업’을 해양·수산 종사자, 관련 연구자, 해양 레저인에게까지 확대 실행 한다면 해양 변사자 신원확인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ocean is a harsh environment and Korea Coast Guard officers often face the threat of death or going missing in the line of duty. In order to promptly identify unknown bodies during mishaps,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has established an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e DNA of its officers. This collected DNA can also be entombed in National Cemeteries when the remains are not recovered. The storage, disposal and quality control of the materials are overseen by the Governing Committee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Rules for the Human Biological Materials Storage Project for the Identification of Officers Killed or Gone Missing in Action. Approximately 700 bodies are found per year along the Korean coast. An alternative method should be put in place for when identification through fingerprints and teeth are not applicable due to severe decomposition or partial recovery. We believe it would greatly contribute to helping identify the unknown bodies if the storage project could expand its data to include marine industry workers, relevant researchers and those involved in marine leisure activities.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한국의 DNA 데이터베이스
  2.1 용어정의
  2.2 타기관의 유전자은행 사례
   2.2.1 대검찰청 및 경찰청 유전자데이터베이스
   2.2.2 국방부 6·25 전사자 데이터베이스
   2.2.3 국방부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2.2.4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2.5 남북 이산가족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3. 해경의 인체유래물 보관사업
  3.1 사업추진연혁
  3.2 채취 및 보관
  3.3 품질확인 검사
  3.4 사망·실종시 신원 확인 절차
  3.5 인체유래물 보관사업의 활용사례
  3.6 관리위원회
 4. 민간인으로의 확대 모델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Author
  • 이한성(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Hanseong Lee Corresponding Author
  • 김형규(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Hyungkyu Kim
  • 이종남(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Jongnam Lee
  • 임선영(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Sonyoung Im
  • 최아진(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국립과학수사연구소, National Forensic Service Busan Institute, National Forensic Service, Korea) | A-jin Choi
  • 김남율(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Namyul Kim
  • 백윤기(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Yoongi Baek
  • 추민규(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Minkyu Choo
  • 주현정(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 Korea Coast Guard Research Center) | Hyunjung 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