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지리산 아고산대의 단기간(2015‐2017)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 발생 및 고도별 종구성 변화 The Change of Seedling Emergence of Abies koreana and Altitudina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ubalpine Area of Mt. Jiri over Short‐Term(2015‐2017)

김지동, 박고은, 임종환, 윤충원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15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2권 제3호 (2018.06)
pp.313-32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기초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 변화의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에 대한 단기간의 생태적 정보 변화의 모니터링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의 동태와 고도별 식생분포 변화를 구명하고자 2015년도와 2017년도에 지리산 구상나무 분포지를 대상으로 총 3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식생조사를 실시하 였다.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층위별 주요 종에 대한 중요치 및 평균상대우점치, 고도별 주요종의 중요치 및 종다양도, 치수 개체군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는 교목층 구상나무, 관목층 철쭉, 초본층 실새풀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 철쭉, 당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별 종조성과 종다양도 지수는 1,500 m이하에서 조릿대의 중요도가 높고 종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1,700-1,800 m에서 미역줄나무의 중요도와 초본층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구에서 구상나무 치수는 2015년도 1,250 본/ha에 서 2017년도 970 본/ha으로 22.4% 감소하였다(p<0.05). 수고급별 감소율은, 10 cm 미만은 22.9%, 10-30 cm 3.4%, 30-50 cm 8.9%, 50-100 cm 39.3%이었으며, 100 cm 이상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발고도별로 살펴보면, 1,500 m 이하는 조릿대의 우점, 1,700-1,800 m는 미역줄나무의 우점과 높은 종 다양도로 인하여 치수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1,600-1,700 m는 조릿대와 미역줄나무가 출현하지 않은 반면 구상나무 치수발생량은 많았다. 이 고도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및 생존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s of sub-alpine forest vegetation due to climate change requires accumulation of contiguous reference data and continuous monitoring. Furthermore, it is crucial to monitor short-term ecological change of lower level vegetation to understand the trend of long-term vegetation change.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vegetation survey and tree diameter measurement in 36 plots of Mt. Jiri inhabited by Abies koreana species from 2015 to 2017 to examine the short-term dynamics of Abies koreana seedling and the change of veget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altitude. We analyzed the importance value and MIV (mean importance value) of major species by each stratum as well as the importance value and species diversity index of major species and the change of seedling population by al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Abies koreana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on tree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on shrub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on herb layer. MIV was high in the order of Abies kore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Acer pseudosieboldianum. Regarding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index (H’)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Sasa borealis showed high MI and low H’ in the elevation less than 1,500 m, and IV of Tripterygium regelii and H’ of herb layer were high in the elevation of 1,700 - 1,800 m. Abies koreana seedling decreased by 22.4% from 1,250 n/ha in 2015 to 970 n/ha in 2017 (p <0.05) throughout the investigated area. The decline rate along seedling and sapling height were 22.9% in less than 10 cm, 3.4% in 10-30 cm, 8.9% in 30-50 cm, 39.3% in 50-100 cm, and 55.1% more than 100 cm. Few of A. koreana seedlings appeared due to the dominance of Sasa borealis in the elevation of 1,500 m or less and due to the dominance and high species diversity of Tripterygium regelii in the elevation of 1,700-1,800 m. On the other hand, many of A. koreana seedlings appeared in the elevation of 1,600-1,700 m due to no distribution of S. borealis and T. regelii species in that altitude rang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ose seedlings and saplings of A. koreana could be more stable in the altitude of 1,600-1,700 m.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 개황
  2. 조사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
  2. 해발고도별 종조성
  3.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군 변화
 종합 고찰
 REFERENCES
Author
  • 김지동(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Ji Dong Kim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박고은(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Go Eun Park (Forest Ecology and Climate Chang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임종환(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Jong-hwan Lim (Forest Ecology and Climate Chang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윤충원(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ung Weon Yun (Dept. of Forest Resour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