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불법엽구 설치 유형 사례 분석 및 관리방안 Case analysis and management plan of illegal fog installation type using GIS spatial analysis

채승훈, 정우진, 전호수, 장혁수, 안진석, 박호엽, 유두희, 조성래, 송동주, 정대호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05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8.10)
p.96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소백산국립공원에서는 멸종위기종복원사업의 하나인 여우 복원사업을 진행중이다. 멸종위기종 복원을 진행함에 있어 안전한 서식지 제공은 복원종의 정착화에 가장 중요한 요수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농업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주민들은 야생동물로 인한 농산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올무, 창애와 같은 불법엽구를 이용하여 과수원이나 밭을 침해하는 야생동물을 차단하고 있다. 이 이유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조수 뿐만 아니라 다른 멸종위기종에게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백산국립공원에서 복원중인 여우의 생태적 특성 상 민가와 농작지 주변에 활동하고 중소형동물로 올무와 창애에 피해를 입을 확률이 더 크다. 실제로 2012년 방사 이후 3개 체가 불법엽구로 인해 폐사 하였으며 7개체는 다리 절단 등의 이유로 회수된 상태이다. 야생동물에게 서식지는 먹이 활동, 교미, 출산, 양육 등 생활사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특히나 멸종위기종 복원에 있어 서식지 안정화는 1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 1급인 여우의 복원대상지인 소백산국립공원 지역의 불법엽구 수거 실적을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통해 불법엽구 설치 유형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소백산국립공원인 접지역에서 수거한 불법엽구 설치 좌표 112개를 이용하여 설치지점의 고도, 경사, 농경지(논, 밭, 과수원)로 부터의 거리, 주거지로 부터의 거리, 도로와의 거리, 토지이용현황 등 총 6가지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불법엽구 설치 유형을 도출 하였다.
분석결과 불법엽구가 설치된 지점의 평균고도는 348.4m로 나타났으며 경사는 평균 16.2°, 농경지로 부터의 거리는 평균 109m, 주거지로 부터의 거리는 192m, 도로와의 거리 114m로 나타났으며 불법엽구가 설치된 지점의 토지이용현황은 침엽수림이 44%로 가장 높았으며 과수원 31.25%, 혼효림 11%, 밭 5%, 교통시설 4.4% 등으로 분석되었다.
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차후 위험지역 설정 및 설치 예상지역을 도출하여 불법엽구 근절을 위한 현수막과 홍보 활동을 통해 주민의식을 계도하고 환경청, 지차체, NGO, 지역주민 등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대대적인 불법엽구 수거를 통해 밀렵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
Author
  • 채승훈(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Seung-Hoon Chae
  • 정우진(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Woo-Jin Jeong
  • 전호수(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Ho-Soo Jeon
  • 장혁수(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Hyeok-Soo Jang
  • 안진석(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Jin-Seok An
  • 박호엽(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Ho-Yeop Park
  • 유두희(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Doo-Hee You
  • 조성래(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Seong-Rae Jo
  • 송동주(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Dong-Joo Song
  • 정대호(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Dae-Ho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