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오리는 국내에 도래하는 주요 월동 조류이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의 주요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월동하는 고방오리의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을 파악하여 수조류 서식지 보호・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에 이용된 시료는 2015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6개체이며,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300)를 부착한 후 조사되었다. 행동권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였다. 고방오리의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에 의해서 평균 677.3km²이었다. 커널밀도측정법(KDE)로는 평균 194.7km²(KDE 90%), 77.4km²(KDE 70%), 35.3km²(KDE 50%)로 나타났다. 서식지 이용은 해양수, 내륙습지와 같은 수계지역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농경지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얻은 월동기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률 등과 같은 결과는 종 보호와 서식지 관리 및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발병 시 대응을 위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Pintail (Anas acuta) is the major wintering bird in South Korea and known as a major mediator of the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Pintail migrates long distances between Russian Siberia and Korea. This species prefers a rice paddy area as their winter habit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bird habitats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 wintering home-range and habitat of pintail in Korea. We captured six pintails using a cannon-net in the winter of 2015 and attached the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WT-300) on them to study the wintering home-range and wintering habitat. We analyzed the tracking location data using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 and calcu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Minimum Convex Polygon (MCP). The average home-range in the wintering ground analyzed by MCP was 677.3 km² (SD=130.2, n=6) while the maximum and minimum were 847.7km² and 467.5km², respectively. Extents of home-range analyzed by KDE were 194.7km² (KDE 90%), 77.4km² (KDE 70%), and 35.3km² (KDE 50%). The pintails mostly used both sea and paddy field as habitat in the winter season and utilized paddy fields more during the nighttime and than the daytime. We concluded that the home-range and habitat of pintails in the winter could be used as the reference data for the preservation of species, management of habitats, and coping with a breakout of HP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