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의 분포특성과 개체군의 위협요인 및 지속가능성 평가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of the Population Sustainability, Factors Related to Vulnerability for a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김영철, 채현희, 안원경, 이규송, 남기흠, 곽명해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16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3권 제3호 (2019.06)
pp.303-320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식물은 다양한 생물적・무생물적 환경요인과 상호작용한다. 한 가지 종이 소유하는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가 요구된다. 특별히 어떤 종이 멸종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한두 가지의 정보만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북방계식물로 우리나라가 분포의 남방한계에 해당하는 층층둥굴레는 2015년 12월까지도 멸종위협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근 분포범위가 비교적 넓고 다수의 개체군이 보고되었음에도 개체군의 낮은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취약하다고 평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분포현황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포지의 식생환경, 개체군의 구조, 식물계절학, 토양환경, 자가불화합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분포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재의 위협요인을 평가하였다. 분포지는 일부 산지의 사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은 하천의 가장자 리에 위치한 미사가 퇴적되는 공간에 위치하였다. 대부분은 안정적인 개체군 구조를 나타내었고 재정착하는 유묘가 존재하였다. 지상으로의 줄기 출현은 토양 중에 위치한 근경의 깊이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유묘와 어린 개체는 토양 중에 얕게 근경이 위치하였다. 종자의 결실은 화분매개곤충의 방문과 수분의 성공이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각각의 분포지에서 관찰된 주요한 위협요인으로는 경작지의 확대, 건물의 신축, 제방과 도로의 건설이 있었다. 관찰된 위협요인에도 불구하고 넓은 분포범위, 270만 개체 이상의 전체 개체 수 및 재정착에 의해 새롭게 형성되는 개체군의 존재에 따라 급격한 감소와 절멸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Plants interact with various biotic and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It requires much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traits of a plant species. A shortage of information would restrict the assessment, especially in the evaluation of what kind of factors influence a plant species to face extinction.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is one of the northern plants of which Korea is the southern distribution edge.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d designated it to be the endangered species until December 2015. Although it is comparatively widespread, and a large population has recently been reported, it is assessed to be vulnerable due to the low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This study evalu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al environment, population structures, phenology, soil environment, and self-incompatibility based on the results. Lastly, we evaluated the current threats observed in the habitats. The habitats tended to be located in the areas where the masses at the edge of the stream accumulated except for those that were located on slopes of some mountainous areas. Most of them showed a stable population structure and had re-established or recruited seedlings.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had the difference in time when the shoots appeared above the ground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rhizome located in the underground. In particular, the seedlings and juveniles had their rhizome located shallow in the soil. Visits by pollinator insects and success in pollination were crucial factors for bearing of fruits by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The threats observed in the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included the expansion of cultivated land,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and construction of river banks and roads. Despite such observed risk factors, it is not likely that there would be rapid population reduction or extinction because of its widespread distribution with the total population of more than 2.7 million individuals and the new populations established by the re-colonization.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Author
  • 김영철(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Young-Chul Kim (Research Center for Natural Scienc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채현희(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Hyun-Hee Chae (Department of Bi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안원경(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Won-Gyeong Ahn (Department of Bi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이규송(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Kyu-Song Lee (Department of Bi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남기흠(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Gi-Heum Nam (Plants Resource Division,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 곽명해(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Myoung-Hai Kwak (Plants Resource Division,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