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 현황 및 빛공해가 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of Light Pollution and its Potential Effect on Ecosystem of the Deogyusan National Park

성찬용, 김영재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08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4권 제1호 (2020.02)
pp.63-71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과 8월에 촬영된 VIIRS(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DNB(Day and Night Band) 야간 위성 영상에서 추출한 야간 빛방사량을 이용하여, 덕유산국립공원 지역 빛공해의 공간적・계절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빛공해가 덕유산국립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원 내 주요 빛공해원 중 무주덕유산리조트의 빛방사량이 가장 높았고, 특히 8월에 비해 1월의 빛방사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겨울철 스키 슬로프와 부대시설 조명이 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의 주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공원 인근 도시지역에서 공원 내부로 이어지는 도시-자연 빛공해 경사(gradient)를 분석한 결과, 빛공해원에서 방사된 빛이 인접 지역으로 최대 1㎞까지 침투하여 공원 경계 지역을 빛공해로 오염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헌 조사를 통해 덕유산국립공원 내 공간적 분포가 알려진 법정 보호종 중 포유류 4종(담비, 무산쇠족제비, 삵, 하늘다람쥐), 조류 2종(새호리기, 황조롱이), 양서파충류 9종(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이끼도롱뇽,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누룩뱀, 유혈목이, 쇠살모사, 까치살모사), 어류(감돌고기, 돌상어)가 빛공해가 심각한 지역에 서식하고 있었다. 이 중 삵과 하늘다람쥐 등 야행성 종의 서식환경이 특히 나빠진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빛공해로부터 국립공원과 같은 보호지역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공원 내부뿐 아니라 인접 지역의 야간 조명을 관리하여야 하며, 야생동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야간 조명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는 결과이다.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spatial and seasonal patterns of light pollu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and examined the potential effects of light pollution on ecosystems in the park using light intensities derived from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DNB (Day and Night Band) nightlight images collected in January and August 2018. Results showed that the Muju Deogyusan resort had the greatest light intensity than other sources of light pollution in the park, and light intensity of the resort was much higher in January than in August, suggesting that artificial lights in ski slopes and facilities were the major source of light pollution in the park. An analysis of an urban-natural light pollution gradient along a neighboring urban area through the inside of the park indicated that light radiated from a light pollution source permeated for up to 1km into the adjacent area and contaminated the edge area of the park. Of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whose distributions were reported in literature, four mammals (Martes flavigula, Mustela nivalis, Prionailurus bengalensis, Pteromys volans aluco), two birds (Falco subbuteo, Falco tinnunculus), and nine amphibians and reptiles (Onychodactylus koreanus, Hynobius leechii, Karsenia koreana, Rana dybowskii, Rana huanrenensis, Elaphe dione, Rhabdophis tigrinus, Gloydius ussuriensis, Gloydius saxatilis) inhabited light-polluted areas. Of those species inhabiting light-polluted areas, nocturnal species, such as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Pteromys volans aluco, in particular, were vulnerable to light pollution. These results implied that protecting ecosystems from light pollution in national parks requires managing nighttime light in the parks and surrounding areas and making a plan to manage nighttime light pollution by taking into accou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in the parks.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야간 위성영상 데이터
    3. 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 분
    4. 빛공해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및 고찰
    1. 덕유산국립공원 빛공해 현황
    2.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uthor
  • 성찬용(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Chan Yong Sung (Dept. of Urban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
  • 김영재(영남대학교 산림자원및조경학과) | Young-Jae Kim (Dept.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