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사스레피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of Eurya Japonica Community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장정은, 이상철, 최송현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975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4권 제2호 (2020.04)
pp.157-169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부산광역시 내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파악을 위하여 사스레피나무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m2) 89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을 통해 89개의 조사구는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 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총 3개의 군락으로 나뉘었다. 군락 Ⅰ은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 피나무 군락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주로 분포하며, 교목층에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경쟁관계인 상태에서 아교목층에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고 극상 수종 중 하나인 개서어나무가 관목부터 교목층까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Ⅰ에서 사스레피나무는 다른 상록활엽수에 비해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위치하며, 낙엽활엽수림으로 천이되어도 수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Ⅱ는 곰솔-사스 레피나무 군락으로 특별한 교란요인이 없는한 현 상태를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Ⅲ은 동백섬에 위치한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인위적인 관리를 받고 있었다. 교목층에는 곰솔이 단일 수종으로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동백나무가 우점하였으며, 비관리지역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사스레피나무와 다수의 상록활엽수가 각각 출현하였다. 따라서 군락 Ⅲ에서는 동백나무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관리가 없을 경우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관목층에 후박나무, 돈나무 등 상록활엽수종들이 다수 출현하고 있는데 기온이 계속해서 상승한다면 향후 곰솔은 쇠퇴하고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89개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수종들과 사스레피나무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 9가지 수종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그중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은 돈나무, 떡갈나무 등 4종이 있었으며,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수종은 5가지 수종으로 그중 사스레피나무와 동일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동백나무가 -0.384로 가장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s of Eurya japonica in Busan. As a result of the TWINSPAN and DCA analysis, 89 plots of 100m2 each were divided into 3 communities: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E.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 japonica community, and P.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Community Ⅰ consisted of the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E. japonica which was mainly located in the high altitude inland. While Q. serrata and P. densiflora competed in the tree layer,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nderstory layer was E. japonica. Since Carpinus tschonoskii, one of the climax species, was distributed evenly from shrub to tree layers, it was likely that deciduous oak trees or Carpinus tschonoskii would become dominant species in community Ⅰ. In community Ⅰ, E. japonica was found in higher altitude than the other evergreen broad-leaved tree and was expected to maintain their tree vigor even if the vegetation structure is converted into the deciduous forest. Community Ⅱ, the P. thunbergii-E. japonica community, was predicted to maintain its tree vigor unless there were unexpected disturbance factors. Community Ⅲ, consisting of P. thunbergii-C. japonica and located in Dongbaek Island, was under artificial management. In community Ⅲ, P. thunbergii was the only species in the tree layer, while C. japonica was predominant in the understory layer. E. japonica and various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were present in the understory layer and shrub layer, which were unmanaged area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unless C. japonica is continuously managed, E. japonica is likely to become the dominant species. There were also various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such as Machilus thunbergii and Pittosporum tobira, present in the shrub layer. If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rise, the habitat is expected to becom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future as P. thunbergii community declines. The result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of E. japonica and species appearing in 89 plots showed that 9 species we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p<0.05). Four species, including P. tobira and Q. dentata, had a positive correlation. Five spec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C. japonica, which had the same ecological position as E. japonica, showed the most negative correlation at -0.384.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및 개황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군락분류 및 유사도지수 분석
    2. 군락별 대상지 개황
    3. 식생구조 분석
    4.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분석
    5. 흉고직경급별 분석
    6. 종간상관관계
    7. 종합고찰
REFERENCES
Author
  • 장정은(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ung-Eun J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Univ.)
  • 이상철(부산대학교 응용생태연구실) | Sang-Cheol Lee (Applied Ecology Lab., Pusan Univ.)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