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2구간의 식생구조분석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2nd Old Trail in Mudeungsan National Park

유승봉, 이상철, 강현미, 김영선, 신해선, 장정은, 최송현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453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4권 제3호 (2020.06)
pp.224-23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제2구간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60개의 조사구를 설치 및 조사하여 TWINSPAN과 DCA를 통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군락Ⅰ은 낙엽활엽수군락, Ⅱ는 소나무-졸 참나무군락, Ⅲ은 졸참나무군락, Ⅳ는 비목나무군락, Ⅴ는 신갈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락들은 해발고에 따른 우점종의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락 Ⅳ를 제외한 4개의 군락은 교목층의 수종이 우점하는 가운데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가 우점하는 현재의 군락의 형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군락 Ⅱ~Ⅳ의 관목층에 발달한 조릿대는 일시개화 및 고사 이후 하부식생 천연갱신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군락 Ⅱ의 소나무-졸참나무간의 경쟁관계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소나무군락의 세력 감소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옛길 2구간은 해발고별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고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인 털조장나무가 자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탐방로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우수한 산림생태계를 보전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Zone 2 of Mudeungsan National Park Old Trail. A total of 60 survey plots were installed to survey the forest structure, and TWINSPAN and DCA analysis classified them into 5 communities. The community I was classified into Deciduous broad-leaf tree, Ⅱ into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Ⅲ into Quercus serrata, Ⅳ into Lindera erythrocarpa, and Ⅴ into Quercus mongolica. The grouped communities showed some differences in species compositions according to elevation. In the four communities except for community IV, Styrax japonicus and Sasa borealis formed a dominant population in understory layers and in shrub layers, respectively, and the current community forms are expected to be maintained. Monitoring of vegetation succession of lower vegetation after temporary flowering and withering in the ridges developed in the shrub layers in communities II through IV is required. In the long-term aspect, the competition between the pine tree and oak tree communities requires observation of a decrease in the power of the pine tree community. Mudeungsan National Park’s Old Trail ecologically valuable as it has a vegetation structure that is distinctively classified according to altitude and is a habitat of Lindera sericea, the flagship specie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It means that the excellent forest ecosystem of Old Trail must be conserved through sustainable utilization.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군락분류 및 유사도지수 분석
    2. 군락별 대상지 개황
    3. 식생구조 분석
    4. 종 수 및 개체 수, 종다양도 분석
    5. 흉고직경급별 분석
REFERENCES
Author
  • 유승봉(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Seung-Bong Yu (DMZ Botanic Garden,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상철(부산대학교 응용생태연구실) | Sang-Cheol Lee (Applied Ecology Lab., Pusan National Univ.) 교신저자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Hyun-Mi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 김영선((사)한백생태연구소) | Young-Seon Kim
  • 신해선(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ae-Seon Sh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
  • 장정은(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ung-Eun J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