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Natural Skullcap Extracts Substitute Commercial Preservatives during Summer Export for Cut Rose Flowers 여름철 장미 수출 환경에서 황금 추출물의 절화보존제 대체 효과

Young Boon Lee, Wan Soon Kim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619
화훼연구
Vol. 28 No. 3 (2020.09)
pp.170-174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여름철 장미의 수출 환경 조건에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SC용액, 특허출원번호 10-2019-0109867)의 절화수명연장 효과를 확인하고 수입산 절화보존제의 대체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건식 및 습식 수송 조건으로 구분하고, 습식 수송 조건은 절화보존제 처리 유무와 종류 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해 물(tap water), Floralife 1%, SC용 액 300mg・L-1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절화수명 연장에는 습식수송 조건에서 절화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특히 황금추출물 SC용액 처리구의 절화수명은 수돗물(7.7일)보다 1.7일 연장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수입산 절화보존제인 Floralif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절화수명 종료 증상은 건식 수송 조건 경우 화색의 퇴화 증상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습식 수송 조건의 경우 일반적인 장미 절화의 노화 증상인 꽃목굽 음과 꽃잎마름 증상이 전체의 60~7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여름철 장미의 수출 환경에서 SC용액은 절화수명을 효 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기존 절화보존제인 floralife와 유사하여 친환경 대체 절화 보존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servative effect of natural skullcap extract (Scutellaria baicalensis, SC solution) in cut rose flower ‘Fuego’ under simulated summer export conditions was investigated. The t ransport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dry and wet transports. The wet t ransport was t reated with tap water, Floralife 1%, and SC solution 300 mg・L-1. The vase life of cut rose flowers in the wet transport was extended longer than in dry t ransport. It was two days longer in the SC solution, which is similar to the extension effect of commercial preservatives, Floralife. The discoloration was the main symptom o f vase l ife in d ry t ransport. The bent neck and petal wilting reached 60% to 70% in the wet transport regardless of preservativ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ative skullcap extra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vase life extension of cut rose flowers during summer export, thus they could be applied as eco-friendly alternative preservative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및 처리 내용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초 록
References
저자
  • Young Boon Lee(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이영분
  • Wan Soon Kim(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김완순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