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가로녹지 및 건물 높이가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Green Space in Roadside and Building Height on the Mitigation of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홍석환, 톈완팅, 안로사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80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4권 제5호 (2020.10)
pp.466-48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도시 개발 형태에 따라 인접 생활권별로 어떻게 확산되는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상남도 밀양시청 앞 6차선 도로를 중심으로 한 도로영향권 시가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VI-met 모델을 가로녹지 유무, 도로변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변수를 조정하여 미세먼지 농도의 확산정도를 파악하였다. 모델링 결과 도로변 건물이 고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우 인접 생활권으로 확산된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는 고층건물군에 가로녹지가 없는 상태의 농도가 낮았다. 반면 저층건물군이 형성된 경우에는 가로녹지 유무에 관계없이 인접생활권으로 확산된 미세먼지 농도는 높게 나타났다. 고층건물의 경우 빌딩풍에 의해 건축물 주변으로 강한 바람이 형성되는 만큼 바람에 의해 미세먼지가 빠르게 외부로 확산되어 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가로녹지 조성이 도로변 생활권에 미치는 미세먼지 저감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특히 도로변 건축물이 저층일 경우 가로녹지를 조성과 생활권미세먼지농도변화와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가 도로에서만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여 모델링을 진행한 것으로 향후 다양한 변수에 따른 미세먼지 확산모형 연구 및 현장연구의 보완을 필요로 하였다.

This study used 3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in the ENVI-met program to investigate how particulate matters (PM) generated on roads disperse through adjacent urban neighborhoods according to the urban development pattern. An urban area centered on a six-lane road in the vicinity of Miryang City Hall in Gyeongnam Province was selected to simulate the effect of the green space and building height on the PM concentration. The ENVI-met model considered the presence of green space and different building heights (high/low) on both sides of the road to examine the dispersion of PM. The result showed that the area of high-rise buildings and green space had the lowest PM concentration dispersed to the adjacent area, followed by the area of high-rise buildings and no green space. In contrast, the PM concentration remained relatively high for low-rise buildings, regardless of the green space. The reason for the low PM concentration in the area with high-rise buildings was a strong building wind, which caused PM to disperse to the outside, lowering the PM concentration quick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M can disperse faster, and the PM concentration remains low in the urban neighborhood. On the other hand, green spa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M in the urban neighborhood.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low-rise buildings on both sides of the road, the green space has no effect on the PM concentration in the urban neighborhood. Since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case of PM emitted from the road,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other factors to figure out the dispersion model of PM and conduct on-site experiments.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방법
결과
    1. 미세먼지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
    2. 공간별 미세먼지 분포특성
    3. 공간별 미세먼지농도 특성
    4. 바람흐름 변화와 미세먼지농도
고찰
REFERENCES
Author
  • 홍석환(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Suk-Hwan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
  • 톈완팅(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Wanting Ti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 교신저자
  • 안로사(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osa 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