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도시녹지 유형별 박새과 둥지 재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idae Nesting Material by Urban Green Area Type

김경태, 이현정, 김휘문, 김성열, 송원경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4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5권 제3호 (2021.06)
pp.256-264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진행된 급속한 도시화는 조류를 비롯한 야생동물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였다. 도시에 정착한 야생조류는 변화한 주변 환경에 적응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박새과 조류는 도시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하여 둥지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도시에 설치된 인공새집을 이용하는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연구진은 충남 천안시에 있는 도시공원(22개)과 산림(11개) 내 총 33개의 인공새집을 설치하였다. 도시공원에서 4개(18.19%), 도시산림에서 5개(45.46%)의 인공새집이 이용되었으며, 둥지를 수거해 둥지 재료를 둥지별, 종별, 도시녹지 유형별로 비교했다. 이소 전 둥지를 포기한 박새 한쌍을 제외한 8개의 둥지가 재료 분석에 활용되었고 수거한 둥지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자연재료(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이끼, 흙)와 인공재료(솜, 종잇조각, 플라스틱, 비닐 및 합성 섬유)로 분류한 뒤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분류 결과, 모든 둥지에서 이끼(50.65%)의 구성 비율이 높았고 흙(21.43%), 인공재료(13.95%), 식물성재료(5.78%), 동물성재료 (4.57%), 기타(3.59%) 순서로 파악되었다. 도시녹지 내 모든 둥지에서 인공재료가 사용된 특징이 있었다. 또한, 박새는 곤줄박이보다 식물성 재료를 약 5.16% 더 사용했으나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t=2.17, p=0.07). 도시산림에서는 식물성 재료와 흙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도시공원은 이끼, 동물성, 인공 재료 순으로 이용되었다. 이 중 식물성 재료 사용은 도시공원과 도시산림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07, p<0.05*). 도시지역과 같이 인공재료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서식환경에서는 일부 자연재료의 역할을 인공재료가 대체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인공새집 내 둥지 재료 유형을 분석한 기초연구로 박새과 종 보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apid urbanization around the world has negatively affected wildlife habitats, including birds. Wild birds settled in the city are adapting to the changed surroundings, and are typically known to make nests using materials that are easy to find around the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nesting materials on the Paridae using artificial bird nests installed in citi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stablished a total of 33 artificial bird nests in urban parks (22) and forests (11) in Cheonan-si, Chungcheongnam-do. Then we collected 4 artificial bird nests in urban parks (18.19%) and 5 in urban forests (45.46%)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ird nest materials by the nest, species, and urban green area types. Eight nests, excluding a nest abandoned by a pair of Paridae, were used for the material analysis. The collected nests were dried, and classified into natural materials (vegetable materials, animal materials, moss, and soil) and artificial materials (cotton, paper pieces, plastics, vinyl, and synthetic fibers), and then each nest was weighed. The classification result shows that the portion of moss (50.65%) was the highest in all nests, followed by soil (21.43%), artificial material (13.95%), vegetable material (5.78%), animal material (4.57%), and others (3.59%) in that order. Artificial materials were used in all nests in urban green areas. Moreover, although the Paridae used about 5.16% more vegetable material than the Parus varius, it was not significant (t=2.17, p=0.07). Plant materials and soil were most preferred in urban forests, and moss, animal, and artificial materials were widely used in that order in urban par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vegetable materials between urban parks and urban forests (t=3.07, p<0.05*). In the habitats like urbanized and dry areas, where artificial materials are highly accessible, artificial materials replaced some roles of natural material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materials used in artificial bird nests to understand the habitat system of urban ecosystems. It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ecological studies and conservation of the Paridae species.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종
    2. 연구 대상지
    3. 인공새집 설치
    4. 재료 동정 및 유형화
결과 및 고찰
    1. 둥지별 재료사용 유형
    2. 종별 재료사용 유형
    3. 녹지 유형별 재료사용 유형
REFERENCES
Author
  • 김경태(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대학 환경원예조경학과) | Kyeong-Tae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 이현정(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대학 환경원예조경학과) | Hyun-Ju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 김휘문(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대학 환경원예조경학과) | Whee-Moo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 김성열(단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대학 환경원예조경학과) | Seoung-Yeal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 송원경(단국대학교 생명공학대학 환경원예조경학부) | Wonkyong S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