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 Ecological Structure of Larix kaempferi in National Park

최송현, 이상훈, 신용진, 조우, 이명훈, 김정호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8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5권 제6호 (2021.12)
pp.609-620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우리나라 국립공원 내 조림지 비율이 높은 6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고자 일본 잎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우점비율, 흉고직경, 조림지역 등을 고려하여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림지 비율이 높은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림지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잎갈나무림의 식생구조 를 분석하고, 식생유형구분을 통해 선정된 6개 국립공원의 일본잎갈나무림의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생태적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방형구 400㎡를 기준으로 총 51개소를 설정하였다. 군락분류는 TWINSPAN을 활용하였으며 분류된 군락별로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종수 및 개체수 등을 분석하였다. 군락분류 결과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7개 군락 모두 교목층에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아교목층과 관목층의 출현수종에 의해 구분되었다. 군락 Ⅰ, Ⅱ, Ⅶ은 계곡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에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느티나무, 산뽕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아교목층에서 물푸레나무, 산뽕나무 등의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군락 Ⅲ~Ⅵ은 사면부에 위치하며 교목층을 중심으로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면서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가 주요 출현수종이었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교목성상의 참나무류와 습지성 낙엽활엽수종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6개 국립공원 일본잎갈나무림의 평균 종다양도는 1.2090으로 군락 Ⅲ이 1.5413으로 가장 높았고 군락 Ⅵ이 0.7042로 가장 낮았다. 평균 종수와 개체수는 9.35±2.90종, 226.05±89.98개체였다.

This study surveyed six national parks that included a wide range of afforestation among national parks in Korea to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Larix kaempferi, which occupies the highest ratio among planted areas. Plots we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dominant ratio,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afforestation area of Larix kaempferi.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cological management to promote diversity. A total of 51 plots were selected based on 400 ㎡ quadrates. TWINSPAN was used for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each classified community was analyzed of importance percentage, species diversity,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identified7 communities, all dominated by Larix kaempferi in the tree layer and classified by the appearance species of the subtree layer and shrub layer. In communities I, II, and Ⅶ that are located in the valley, Zelkova serrata, Morus bombycis, and Fraxinus rhynchophylla appeared, while dominated by Larix kaempferi were in the tree layer. Wetland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such as Fraxinus rhynchophylla and Morus bombycis frequently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In community Ⅲ through Ⅵ is located on the slope, Quercus spp., such a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mainly appeared while dominated by Larix kaempferi in the tree layer, and Quercus and wetland broad-leaved species frequently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and shrub layer.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of Larix kaempferi in the surveyed six national parks was 1.2090, with community III the highest at 1.5413 and community Ⅵ the lowest at 0.7042.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was 9.35±2.90, and the average population was 226.05±89.98.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및 개황
    2. 조사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군락 분류
    2. 식생구조 분석
    3. 종수 및 개체수
    4. 종 다양도
    5. 흉고직경급별 분포
REFERENCES
Author
  • 최송현(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Song-Hyun Choi (Dep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
  • 이상훈(건국대학교 대학원 녹색기술융합학과) | Sang-Hoon Lee (Dep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
  • 신용진(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Yong-Jin Shin (Dept. of Green Plants_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Sangji Univ.)
  • 조우(당진시청 산림녹지과) | Woo Cho (Dangjin City Hall)
  • 이명훈(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Myung-Hoon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Univ.)
  • 김정호(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 Jeong-Ho Kim (Dept. of Green Technology Convergence, Konkuk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