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특성 분석 및 관리 전략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Ventilation Corridor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the Busan, South Korea -

문호경, 김동필, 권영달, 박현빈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8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5권 제6호 (2021.12)
pp.659-668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바람길 관리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Landsat-7 위성 열영상 자료와 공간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부산광역시의 Hot spot과 Cool spot 지역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WRF 기상모의를 통해 주요 바람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Hot spot 지역 중 열환경 개선이 요구되는 지역은 부산진구, 동래구, 연제구와 사상구 공업지역, 대규모 시설지역에는 부산항 부두로 나타났으며 주요 바람길에는 금정산~백양산~ 구덕산 계곡부로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길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공업시설과 부산항 일대는 대기 온도 상승 요인으로서 주변 지역의 열환경을 악화시키므로 시설의 온도저감 및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건축계획이 요구된다. 바람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만덕동, 사직동 일대 산림에 대한 추가적인 훼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산림과 인접한 지역의 대규모 고층아파트는 산림에서 생성된 차고 신선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금정산과 접해있는 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신규·재개발에 따른 고층아파트 단지 조성은 지양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부산광역시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 및 환경계획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ventilation corridor management plan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for Busan Metropolitan City.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hot and cool spots in Busan were identified by conducting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thermal image data from Landsat-7 satellites and major ventilation corridors were analyzed through WRF meteorological s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e areas requiring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among hot spot areas were Busanjin-gu, Dongnae-gu, industrial areas in Yeonje-gu and Sasang-gu, and Busan Port piers in large-scale facilities. The main ventilation corridor was identified as Geumjeongsan Mountain-Baekyangsan Mountain-Gudeoksan Mountain Valley. Based on the results, the ventilation corridor management strategy is suggested as follows.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Busan Port area are factors that increase the air temperature and worsen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 area. Therefore, urban and architectural plans are required to reduce the facility's temperature and consider the ventilation corridor. Areas requiring ventilation corridor management were Mandeok-dong and Sajik-dong, and they should be managed to prevent further damage to the forests. Since large-scale,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interfere with the flow of cold and fresh air generated by forests,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near Geumjeongsan Mountain with the new redevelopment of Type 3 general residential area should be avoid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urban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Busan Metropolitan City.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기상개황
    3.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열환경 분포도
    2. Hot spot 및 Cool spot 분석
    3. 부산시 바람길 분석
    4. 부산지역의 바람길 활용 방안
    5. 종합고찰
REFERENCES
Author
  • 문호경(국립생태원 습지센터) | Ho-Yeong Moon (Wetland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동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Dong-Pil Kim (Dept. of Landscpa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권영달(㈜한성개발공사) | Young-Dal Gweon (Managing Director, Inc. Hansung Engineering)
  • 박현빈(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Hyun-Bin Park (Dept. of Landscpa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