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전국 야생 벌목 분포에 대한 기후요인 영향 연구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Wild Aculeata (Insecta: Hymenoptera)

유동수, 권오창, 신만석, 김정규, 이상훈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1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6권 제3호 (2022.06)
pp.303-317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온실가스 배출 증가에 의한 기후변화는 화분매개곤충과 식물과의 생태적 상호작용인 수분생태계와 농업생태계를 포함한 자연생태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수분생태계에서 중요한 야생벌(wild bee)은 기후변화에 의해 감소되고 있어서 결국 농업경제, 현화식물의 생태활동, 나아가 전체 생물종 다양성에 악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의해 한반도(남한)에서도 매년 기온이 상승하고 있고, 그에 따른 기후변화 발생으로 한반도 내 야생벌의 생태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남한)에서 출현하는 야생벌(꿀벌상과, 말벌상과, 청벌상과)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2017년(37 조사지점)에서 2018년 (14 조사지점) 까지 총 51개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하여 야생벌류의 출현현황을 파악하였다. 형태 및 문헌을 통해 동정한 야생벌류와 산림기후대에 따른 분포는 평균기온, 적산온도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사회 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 시나리오의 2-4.5와 5-8.5버전으로 BIOMOD 종분포 모형에 따라 남한 전역에서 출현한 야생벌과 기후대별로 특이적으로 출현한 종의 서식지 분포 변화를 예측하여 현재의 종 서식지 분포에서, 2050년과 2100년에 북쪽으로 서식지가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구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국내 야생벌의 분포 변화가 일어 날 수 있고, 그로 인한 한반도의 생태계 변화가 야기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분생태계 및 그와 관련된 영향에 대한 연구와 야생벌 관리를 위한 정책수 립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limate change caused by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can alter the natural ecosystem, including the pollination ecosystem and agricultural ecology, which are ec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potted insects and plant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populations of wild bees, including bees and wasps (BW), which are the key pollinators, have gradually declined due to climate change, leading to adverse impacts on overall biodiversity, ultimately with agribusinesses and the life cycle of flowering plants. Therefore, we could infer that the rising temperature in Korean Peninsula (South Korea) due to global warming has led to climate change and influenced the wild bee’s ecosystem.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BW (Superfamily: Apoidea, Vespoidea, and Chrysidoidea) at 51 sites from 2017 (37 sites) to 2018 (14 site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of BW in South Korea. Previous literature has confirmed that their distribution according to forest climate zones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an and accumulative temperatures. Based on the result, we predicted the effects of future climate changes on the BW distribution that appeared throughout South Korea and the species that appeared in specific climate zones using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SSPs). The distributions of wild BW predicted by the SSP scenarios 2-4.5 and 5-8.5 according to the BIOMOD species distribution model revealed that common and endemic species will shift northward from the current habitat distribution by 2050 and 2100, respectively. Our study implies that climate change and its detrimental effect on the ecosystem is ongoing as the BW distribution in South Korea can change, causing the change in the eco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mmediate efforts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warranted. We ho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inspire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pollination services and serve as the reference for making agricultural policy and BW conservation strategy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결과 및 고찰
    1. 산림기후대별 야생벌 출현 현황
    2. 산림기후대별 종 다양성 및 분포
    3. 미래기후영향에 따른 야생벌 분포 추정
REFERENCES
Author
  • 유동수(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농업연구사) | Dong-Su Yu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S, RDA, Jeonju, 54874, Korea)
  • 권오창(국립생태원 기후탄소연구팀 연구원) | Oh-Chang Kwon (Climate Change and Carbon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un 33657, Korea)
  • 신만석(국립생태원 생태정보팀 전임연구원) | Man-Seok Shin (Ecological Information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un 33657, Korea)
  • 김정규(동남보건대학교 바이오환경보건과 교수) | Jung-Kyu Kim (Dept. of Bio Environment Health, Dongnam Health University, Suwon 16328, Korea (hymjkk)
  • 이상훈(국립생태원 생태정보팀 책임연구원) | Sang-Hun Lee (Ecological Information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un 33657, Korea) Correspondenc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