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Pulsing Treatmen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to Extend the Vase Life of Cut Rose ‘Bubble Gum’ 장미 ‘Bubble Gum’의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침지처리

Ye Rin Kim, Ju Hwi Kim, Young Boon Lee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437
화훼연구
Vol. 30 No. 4 (2022.12)
pp.205-210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장미 ‘Bubble Gum’의 절화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HOCl, pH 6.26)의 처리효과와 절화수명 연장제로써 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침지처리는 30μL・L-1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0분, 0.5분, 1분, 3분, 5분간 침지처 리 후 수돗물(Tap water, control)에 꽂아 두었다. 대조구의 절화수명은 8.7일인데 비해 5분 침치처리 시 10.8일로 대조 구보다 2.1일 수명을 연장시켰다. 상대생체중은 모든 처리구 에서 2일까지 증가하였고, 수분흡수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6일 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화색 변화율인 ΔE 값은 3분(5.25), 5분(6.48), 30초(6.65), 1분(6.79) 침지처리 에서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상대 화폭 증가율은 5분 침지 처 리구가 145%로 화폭의 증가율이 가장 컸고, 엽록소함량은 처 리 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절화장미 ‘Bubble Gum’의 절화수명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5분 침지 처리가 효과적 으로 연장시켰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atment effec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HOCl, pH 6.26) on cut rose ‘Bubble Gum’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preservative solution. HOCl 30 μL・L-1 was treated for 0, 0.5, 1, 3, and 5 min. The vase life of 5 min treatment was 2.1 days longer than of the control. In all treatments, the relative fresh weight increased by 2 days, and the vase solution uptake increased by 6 days and then decreased. The ΔE value of treatments on 3 min (5.25), 5 min (6.48), 0.5 min (6.65), and 1 min (6.79)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ich is the rate of change in petal color. in petal color. With 5 min treatment, the flower size was the largest (145%). The chlorophyll content of leaves did not differ in all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vase life of the cut rose “Bubble Gum” was effectively extended by the 5 min pulsing treatment with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및 처리 내용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Ye Rin Kim(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김예린
  • Ju Hwi Kim(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김주휘
  • Young Boon Lee(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 이영분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