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생물음향탐지기법을 활용한 한국 참깽깽매미 서식 및 번식울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Habitat and Mating Calls in Korean Auritibicen intermedius (Hemiptera: Cicadidae) Using Bioacoustic Detection Technique

김윤재, 기경석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47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6권 제6호 (2022.12)
pp.592-602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음향탐지기법을 적용해 국내에서 국지적인 위치에 서식하는 참깽깽매미의 번식울음을 분석하여 서식지 분포를 확인하고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20개소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4년(2020년 제외)이었다. 번식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녹음장비를 설치하여 시간당 1분씩 365일 수집하였다. 기후 데이터는 온도, 습도, 강수량, 전운량, 일조량 등 기상청에서 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깽깽매미 서식처는 연구대상지 20개소 중 강원도 고지대 4개 국립공원(설악 산, 오대산, 치악산, 태백산)에서만 확인되었다. 4년간 참깽깽매미 번식울음 시기는 8월 5일에서 9월 28일 사이였고, 번식울음 기간은 31~52일이었다. 참깽깽매미 출현시기 내 온도 분석 결과, 참깽깽매미는 최저 13.1°C, 최고 35.3°C 사이의 온도에서 주로 번식울음을 내었고, 번식울음 일주기 시간대(09~16시)의 평균기온은 24.4~24.9°C로 나타났다. 참깽깽매미가 출현한 연구대상지 4개소의 2019년 번식울음 일주기를 분석한 결과, 참깽깽매미는 06~16시까지 번식울음 을 내었고 11~12시경 피크를 보였다. 참깽깽매미의 출현기간 내 참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늦털매미 4종이 공통 출현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참깽깽매미의 번식울음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은 일조량으로 나타났다. 종간영향에 있어서 다른 공통출현종 4종(참매미, 애매미, 유지매미, 늦털매미)과 종간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참깽깽매미는 우리나라에서 강원도 고지대를 중심으로 한정적으로 서식하며 다른 종과 비교하여 낮은 온도에서 번식울음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향후 참깽깽매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aimed to check habitat distribution and analyze influencing factors by analyzing the mating calls of Auritibicen intermedius inhabiting limited locations in South Korea by applying bioacoustic detection techniques. The study sites were 20 protection areas nationwide. The mating call analysis period was 4 years from 2017 to 2021, excluding 2020. The bioacoustic recording system installed at each study site collected recordings of mating calls every day for 1 minute per hour. Climate data received from the Meteorological Agency,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cloudiness, and sunshin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A. intermedius habitat only in four national parks in the highlands of Gangwon Province (Mt. Seorak, Mt. Odae, Mt. Chiak, and Mt. Taebak) out of 20 study sites. During the four years of study, the mating call period of A. intermedius was between August 5 and September 28, and the duration of the mating call was 31 to 52 days. The temperature analysis during the appearance period of A. intermedius showed that A. intermedius mainly produced mating calls at temperatures between 13.1°C and 35.3°C, and the average temperature during the circadian cycle of mating calls (09:00 to 16:00) was 24.4 to 24.9°C. The analysis of the circadian cycle of mating calls at four study sites where A. intermedius appeared in 2019 showed that A. intermedius produced mating calls from 06:00 to 16:00 and that they peaked around 11:00 to 12:00. During the appearance period of A. intermedius, four species appeared in common: Hyalessa maculaticollis, Meimuna opalifera, Graptopsaltria nigrofuscata, and Suisha coreana.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sunlight was the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mating call of A. intermedius. Regarding interspecific influence, it was confirmed that A. intermedius exchanged interspecific influence with 4 other common species (H. maculaticollis, M. opalifera, G. nigrofuscata, and S. coreana).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A. intermedius habitats were limited in the highlands of Gangwon Province highlands in Korea and produced mating calls at a lower temperature compared to other speci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A. intermedius in Korea.

Table Content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연구대상종
    2. 조사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참깽깽매미 서식지 분포
    2. 참깽깽매미 출현 시기 및 변화
    3. 참깽깽매미 번식울음 온도 범위 분석
    4. 참깽깽매미 일주기 분석
    5. 참깽깽매미와 영향요인 간 로지스틱 회귀분석
    6. 고찰
REFERENCES
Author
  • 김윤재(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Yoon-Jae Kim (Dept. of Applied Plant Science, Ph.D. student of Sangji Univ.)
  • 기경석(상지대학교 산림조경학부 부교수) | Kyong-Seok Ki (Dep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Sangji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