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등줄쥐의 육교형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Use of Wildlife Bridge by Striped Field Mouse (Apodemus agraius)

정기영, 이지훈, 모용원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44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7권 제5호 (2023.10)
pp.337-346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도로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저감방안으로 육교형 생태통로가 건설되고 있기는 하지만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쟁이 있다. 생태통로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족적트랩, 카메라트랩과 같은 모니터링 방법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얼마나 많은 개체가 이용하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통로와 인근 지역을 서식지로 이용할 가능성이 큰 소형포유류인 등줄쥐를 대상으로 포획-재포획 방법으로 개체 위치 파악을 통해 생태통로 이용 정도를 도출하고, 트랩 주변 환경 특성을 이용하여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도는 격자 단위의 포획지점을 연결하여 이동 거리와 경로를 확인하였고,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은 트랩당 포획 횟수를 종속변수로 한 일반화 선형 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등줄쥐의 이동 거리는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생태통로를 횡단하는 개체가 나타나지 않음에 따라 등줄쥐는 생태통로를 통로보다는 서식지로 이용함을 확인하였다. 등줄쥐가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데 영향을 미친 환경 특성은 층위별 식생피복량(1~2m, 2~8m, 8m 이상), 교목 식생, 트랩 주변 최대 수목 흉고직경, 경사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태통로 조성 시 더 많은 교목과 관목을 식재하고, 높은 경사와 절토사면 생성을 방지하여 생태계 내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등줄쥐 이용도를 높인다면 생태통로의 효과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lthough wildlife bridge are built as a way to reduce habitat fragmentation caused by road construction, there is still a lot of debate about their effectiveness. Monitoring methods such as footprint traps and camera traps are use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ildlife bridge, but there is a limit to evaluate of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he degree of use the wildlfe bridge was surveyed by striped field mouse that is likely use the wildlife bridge and surrounding as a habitat with capture-mark-recapture method.(Apodemus agraius). The distance and route of movement were identified by connecting the capture point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use of the wildlife bridge implemented a generalized linear model(GLM) with the capture number of captured as a dependent variable. Consequently of capture, no individuals crossing the wildlife bridge, striped field mouse use the wildlife bridge as a habitat.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mice were vegetation cover(1~2m, 2~8m, over 8m), vegetation construction, maximum diameter at breast height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slope was nagatively correlated.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wildlife bridge will be further improved by planting shrubs and trees and preventing high slope and cut slope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rat, such as being used as a food source in the ecosystem.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등줄쥐 포획-재포획 및 이용도 분석
    3. 등줄쥐 생태통로 이용에 영향을 미친 환경 특성
결과 및 고찰
    1.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도
    2. 생태통로와 주변 산림의 환경 특성 비교
    3. 등줄쥐의 생태통로 이용에 미치는 환경 특성
    4. 결론 및 제언
Author
  • 정기영(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과정) | Gi-Yeong Je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 Gyeongsan 38541, Korea)
  • 이지훈(영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과정) | Ji-Hoon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 Gyeongsan 38541, Korea)
  • 모용원(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 | Yong-Won M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 Gyeongsan 38541, Korea)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