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Induction of 2n Gametes in Oriental Lily Hybrids ‘Medusa’ and ‘Marco Polo’ Utilizing N2O Gas N2O Gas를 이용한 Oriental 백합 ‘Medusa’와 ‘Marco Polo’의 2n Gametes 형성

Song Kyung Park, Yun-Jae Ahn, Yoon-Jung Hwang, Ki-Byung Lim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96
화훼연구
Vol. 31 No. 4 (2023.12)
pp.274-286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백합 종간 교잡종은 다양한 교배 방법에 의해 생산되어지 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간 교잡종은 대부분 불임이다. 2n gametes는 백합에서 종간 교잡종 F1의 불임을 극복할 수 있 을 뿐 아니라 우수한 유전형질을 지닌 2n과의 교배에 이용할 수 있고 후대 다양한 유전형질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가장 효과적으로 2n gametes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구축하기 위하여 백합 Oriental hybrids ‘Medusa’와 ‘Marco Polo’에 N2O를 처리하였다. 같은 Oriental 그룹 내 에서도 ‘Medusa’와 ‘Marco Polo’는 화뢰 크기별 감수분열 시기가 달랐다. 감수분열 tetrad 시기에 염색체를 관찰한 결 과 sequential spindles, tripolar spindles에 의해 2가지 다른 형태가 관찰되었다. ‘Medusa’에서 2atm의 N2O를 처리 한 화뢰 길이 10~15mm와 20~25mm에서 monad, dyad, triad, tetrad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4atm에서는 tetrad 이외에는 검경 되지 않았다. ‘Marco polo’의 경우 화뢰 길 이 10~15mm, 25~30mm 시기에 2, 4atm의 N2O를 12, 24 시간 동안 처리한 구에서 모두 dyad, triad가 관찰되었다. ‘Medusa’, ‘Marco Polo’ 모두 dyad, triad, tetrad가 관찰 된 시기는 대조구에서 interphase와 metaphase Ⅰ에 해당 하는 시기이다. 화분의 모양은 타원형으로 처리 전·후 변화가 없었으며 처리 후 화분의 크기는 n 보다 큰 화분뿐 아니라 작 은 화분도 관찰되어 전체적으로 다양했다. 화분의 임성과 발 아율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적으로 처리 후가 무처리구보다 임성은 약 10%, 발아는 약 20% 정도 떨어졌다. ‘Medusa’와 ‘Marco Polo’를 이용하여 N2O를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정역 교배하였을 때 자방이 비대 되는 형 태가 2가지이었으나 처리 별 차이는 아니었다. 획득된 식물체 를 Flow cytometry로 검정한 결과, 무처리 ‘Marco Polo’와 2atm 24시간 32mm에 처리한 ‘Medusa’의 교배를 통해 하 나의 식물체에서 2배체와 3배체가 모두 나오는 mixoploid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실험을 통해 얻은 식물체 중에서 이 수체가 4개 발견되었다. 확실한 3배체를 가진 식물체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및 N2O(Nitrous oxide) gas 처리
    화뢰크기별 감수분열 단계 검경
    N2O 처리 후의 화분크기 및 임성, 발아율
    N2O 처리 식물체를 이용한 교배와 후대의 배수성 검정
결과 및 고찰
    화뢰크기별 감수분열 단계 검경
    N2O 처리 후 감수분열의 tetrad 시기 관찰
    N2O 처리에 의한 sporads의 검경
    N2O 처리 후의 화분크기 및 임성, 발아율
    N2O 처리 식물체를 이용한 교배와 후대의 배수성 검경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Song Kyung Park(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박송경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Yun-Jae Ahn(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안윤재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Yoon-Jung Hwang(Department of Convergence Science, Sahmyook University, Seoul 01795, Korea) | 황윤정 (삼육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Ki-Byung Lim(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임기병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