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Prediction of Vase Lif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mart Greenhouse Environments by Cultivation Metho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t Flowers in Standard Rose 스탠다드 장미의 재배방식별 스마트 온실 환경 및 절화 품질 특성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한 절화수명 예측

Jeong Bin Jeon, Min Jung Lee, Byung-chun In, Wook Oh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99
화훼연구
Vol. 31 No. 4 (2023.12)
pp.307-322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1세대 스마트 온실의 재배환경 데이터와 장미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요인들 간의 상관 관계 를 분석하여 절화수명 예측 및 최적 환경 조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토경재배(SC) 및 암면배지경 양액재배(RWH) 하우스 각 1개소를 선정하여 1년간 기온, 상 대습도(RH) 및 수증기압차(VPD), 일적산광량(DLI), 근권온도 등의 환경 데이터와 매월 말 수확된 장미 ‘Miss Holland’ 절 화의 품질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 데이터와 절화수 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절화수명은 10월과 11월을 제외하고는 SC 하우스에서 RWH 하우스보다 더 길었다. 절 화수명과 환경 및 생육 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SC 하우 스의 상관계수는 RWH 하우스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절화수 명 예측을 위한 요소들도 두 하우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SC 하우스의 절화수명 Y=0.848X1+0.366X2-0.591X3+2.224X4- 0.171X5+0.47X6+0.321X7+9.836X8-110.219(X1-X8: 최고 RH, RH 일교차, DLI, pH, Hunter’s b value, EC, 절화 장, 잎 두께; R2=0.544)로 예측되었고, RWH 하우스의 절화수명 Y=-1.291X1+52.026X2-0.094X3+0.448X4-3.84X5+0.624X6 - 8.528X7+28.45(X1-X7: 경경, 야간 VPD, 최고 근권온도, 최 저 근권온도, 기온 일교차, RH 일교차, 최고 VPD; R2=0.5243) 로 예측되었다. 이 두 모델식으로부터 SC 하우스에서는 RH, EC 및 pH가, 그리고 RWH 하우스에서는 근권 온도가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재배 방법에 따라 장미의 절화수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목차
제목없음
서 언
재료 및 방법
    플라스틱 하우스 선정 및 환경 특성
    하우스 환경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절화의 수확 시 품질 특성 조사
    절화의 수확후 품질 특성 조사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재배방식에 따른 하우스 환경 특성 비교
    월별 절화 품질 특성
    절화수명 및 흡수량
    절화수명과 생육 및 환경 요소의 주성분 분석
    절화수명 예측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Jeong Bin Jeon(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 전정빈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Min Jung Lee(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 이민정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Byung-chun In(Department of Smart Horticultur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 인병천 (국립안동대학교 스마트원예과학과)
  • Wook Oh(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 오욱 (제주대학교 생물산업학부 원예환경전공)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