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두만강 하류 밀강 지역의 산림성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 Abundance and Occupancy of Forest Mammals at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

이해룡, 최창용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5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7권 제6호 (2023.12)
pp.429-438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두만강 하류의 숲은 북한, 중국, 러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산림생태계로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호랑이(Panthera tigris)와 표범(Panthera pardus)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동물들에게 서식환경과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준다.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특히 중국과 북한을 연결하는 잠재적인 생태통로로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밀강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이 지역에 설치한 48대의 무인센서카메라 를 통해 출현하는 포유류 종을 확인하고 그들의 상대개체수와 점유율 및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18종의 포유류가 밀강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호랑이와 표범 등 대형 육식동물도 포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포유류인 유제류 4종에 대한 점유율과 탐지율, 분포를 추정한 결과, 특히 노루 (Capreolus pygargus)와 멧돼지(Sus scrofa)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노루는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예측 점유율은 0.97로 높게 나타났으나, 고도, 도시 주거용지, 패치 밀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는 0.73의 예측 점유율을 보이며 전 지역에 분포했으며, 습지 비율, 방목 강도, 사면에 대한 공간이질성 등의 인자가 점유율과 탐지율에 영향을 주었다. 꽃사슴(Cervus nippon)의 예측 점유율은 0.48로서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하였으며, 경사도와 서식 지 파편화 다양성이 탐지율에, 방목 강도와 개방된 숲의 비율이 점유율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고라니(Hydropotes inermis)는 아주 낮은 점유율(0.06)을 보이며 두만강 유역을 따라 분포했으며, 고도가 낮은 곳의 점유율이 높고 사면의 공간이질성이 높은 곳에서 탐지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밀강 지역이 두만강 하류의 다양한 포유류 개체군을 유지하는 서식지인 동시에, 동물의 이동성과 서식지의 연결성을 유지하는 잠재적 생태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유율 예측 모형은 향후 인간의 교란에 노출된 두만강 유역의 포유류 분포를 예측하고 국경지대의 생태통로를 파악하고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forest in the lower Tumen River serves as an important ecosystem spanning the territories of North Korea, Russia, and China, and it provides habitat and movement corridors for diverse mammals, including the endangered Amur tiger (Panthera tigris) and Amur leopard (Panthera pardus). This study focuses on the Mijiang area, situated as a potential ecological corridor connecting North Korea and China in the lower Tumen River, playing a crucial role in conserving and restoring the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ammal species and estimate their relative abundance, occupancy, and distribution based on the 48 camera traps installed in the Mijiang area from May 2019 to May 2021. The results confirmed the presence of 18 mammal species in the Mijiang area, including large carnivores like tigers and leopards. Among the dominant mammals, four species of ungulates showed high occupancy and detection rates, particularly the Roe deer (Capreolus pygargus) and Wild boar (Sus scrofa). The roe deer was distributed across all areas with a predicted high occupancy rate of 0.97, influenced by altitude, urban residential areas, and patch density. Wild boars showed a predicted occupancy rate of 0.73 and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entire area, with factors such as wetland ratio, grazing intensity,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aspects of the landscape influencing their occupancy and detection rates. Sika deer (Cervus nippon) exhibited a predicted occupancy rate of 0.48, confined to specific areas, influenced by slope, habitat fragmentation diversity affecting detection rates, and the ratio of open forests impacting occupancy.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displayed a very low occupancy rate of 0.06 along the Tumen River Basin, with higher occupancy in lower altitude areas and increased detection in locations with high spatial heterogeneity in aspec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ijiang area serves as a habitat supporting diverse mammals in the lower Tumen River while also playing a crucial role in facilitating animal movement and habitat connectivity. Additionally, the occupancy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dicting mammal distribution within the disrupted Tumen River basin due to human interference and identifying and protecting potential ecological corridors in this transboundary region.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포유류 모니터링 및 환경요인
결과
    1. 밀강 지역 내부의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
    2. 밀강 지역의 유제류 점유율 분석
    3. 밀강 지역에서의 유제류 점유율의 공간분포 예측
고찰
REFERENCES
Author
  • 이해룡(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부 박사과정) | Hai-Long Li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 최창용(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조교수) | Chang-Yong Choi (Dept. of Agriculture, Forestry and Bio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