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향버섯 발생지의 식생구조 및 주요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Main Characteristics in Habitat of Sarcodon impricatus

이미지, 구남인, 가강현, 김민수
  • Language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60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제38권 제2호 (2024.04)
pp.156-168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Abstract

본 연구는 향버섯이 발생하는 임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토양 특성을 구명하여 임지 및 환경의 필수적인 기초자료 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신갈나무군락과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 등이 혼재하고 있는 혼효림 형태인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전자의 군락에는 실새풀, 후자의 군락에는 애기나리 와 대사초가 지표종으로써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두 군락 모두 유효인산과 pH, 모래, 점토가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토양의 높은 유기물 함량과 약산성 pH는 향버섯 발생에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하위 층위에 나타나는 종들은 상위 층위에 출현한 종들이 실현 지위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입지는 북-동의 방위로 비교적 습윤한 입지에 분포하였고, 낙엽층 깊이가 얇고 암석노출도가 낮아 토양이 발달한 것으로 보였다. 선정된 향버섯 발생지들은 교란 또는 외부 간섭으로부터 적응성이 높은 종을 중심으로 식생이 발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향버섯이 발생할 수 있는 임분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인공재배 시 향버섯 발생 촉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forest land and the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forest land where Sarcodon impricatus are present.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dominated by Q. mongolica and th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 mixed forest with Q. variabilis, Q.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Also, Calamagrostis arundinacea in the former community and Disporum smilacinum and Carex siderosticta in the latter community showed significant levels as indicator species. Both communitie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vailable phosphate and pH, sand, and clay, and the high organic matter content and slightly acidic pH of the soil are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 impricatus. The species appearing at the lower layer continue to dominate because the species appearing at the upper layer have secured realized niches. The site was distributed in a relatively humid place in a north-east direction, and soil was developed with a thin litter layer and low rock exposure. In the selected S. impricatus growing areas, vegetation centered on highly adaptable species to disturbance or external interference was develope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promote the occurrence of S. impricatus during artificial cultivation, a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tand where S. impricatus occurs indirectly.

Table Content
서 론
연구방법
    1. 조사지역 및 조사방법
    2. 분석방법
결 과
    1. 군집구조
    2.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3. 중요치
    4. 생활형
    5. 입지환경특성
고 찰
REFERENCES
Author
  • 이미지(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석사연구원) | Mi-Ji Lee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Republic of Korea)
  • 구남인(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연구사) | Nam-In Koo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Republic of Korea)
  • 가강현(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연구과 연구관) | Kang-Hyeon Ka (Forest Microbi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won, 16631, Republic of Korea)
  • 김민수(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박사연구원) | Min-Su Kim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