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Study of Leaf Structure and Pigment Characteristics of Four Peperomia Cultivars to Understand Variegation Expression Mechanism in Plants Peperomia 4종의 무늬 발현 양상별 잎의 형태 및 색소 특성 연구

Ji Hyeon Seo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96
화훼연구
Vol.32 No.2 (2024.06)
pp.86-94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늬 식물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Peperomia 속의 무늬가 없는 P. rotundifolia와 무늬 발생 양상이 서로 다른 P. argyreia, P. obtusifolia ‘Variegata’, P. marmorata ‘Pink Lady’4종을 대상으로 잎의 형태적 특성과 색소 구성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 argyreia은 배경색과 무늬색의 색차(△E)가 크게 나타났지만, 단면 세포에서는 엽 록소가 고르게 분포하고, 색소 구성에서 무늬 유무에 따른 차 이가 없었다. 반면, c ‘Variegata’는 색소 구성에서 배경색과 무늬색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단면 세포에서도 엽 록소 분포의 차이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붉은 색의 무늬를 가 진 P. marmorata ‘Pink Lady’는 안토시아닌을 포함하고 있 어, 다른 품종들과는 다르게 색소체 생성에 따른 무늬 발현 양 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P. argyreia는 표피의 공기층에 의 해 무늬가 발현되는 구조적 패턴을 가지며, P. obtusifolia ‘Variegata’와 P. marmorata ‘Pink Lady’는 엽록소와 카르 티노이드, 안토시아닌 등 색소적 특징에 의해 무늬를 발현시 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품종 특이적으로 다른 무늬 발생 양상을 가진 식물은 관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광환경 이 다르게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To identify the expression pattern of variegated plants, this study compar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igment composition of leaves of four species of Peperomia with different development patterns: nonpatterned P. rotundifolia, P. argyreia, P. obtusifolia ‘Variegata’, and P. marmorata ‘Pink Lady’. Results showed a large color difference (△E) between the background and pattern colors in P. argyreia; however, chlorophyll was evenly distributed in cross-sectional cells, with no difference in pigment composition observ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ttern. Conversely, P. obtusifolia ‘Varieg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igment composition between the background and pattern colors. Differences in chlorophyll distribution were also evident in cross-sectioned cells. P. marmorata ‘Pink Lady’, which has a reddish pattern, contained anthocyanins and had a different expression pattern due to plastid production. In conclusion, P. argyreia has a structural pattern caused by the air layer of the epidermis, while the patterns in P. obtusifolia ‘Variegata’ and P. marmorata ‘Pink Lady’ develop due to the presence of pigments, such as chlorophyll, carotenoids, and anthocyanins. Plants with these cultivar-specific patterns of variegation development may require different light conditions to maintain their ornamental value.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페페로미아 속의 형태적 특성 분석
    페페로미아 속의 색채 및 색소 구성 특성 분석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페페로미아 속의 형태적 특성
    페페로미아 속의 무늬 색채 및 색소 구성 특성
초 록
References
저자
  • Ji Hyeon Seo(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Horticulture, Sahmyook University, Seoul 01795, Korea) | 서지현 (삼육대학교 환경디자인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