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Tropism Response of Epipremnum aureum to Lighting Position and Stem Training Direction 광원 위치와 줄기 유인방향에 따른 스킨답서스의 굴성 반응

Min Kyung Lim, Wan Soon Kim
  • 언어KOR
  • URLhttp://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97
화훼연구
Vol.32 No.2 (2024.06)
pp.95-102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실내 벽면녹화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덩굴식물 스킨답 서스(Epipremnum aureum)는 줄기의 상·하 유인방향에 생장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서는 구 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광원의 위치(상· 하)와 줄기 유인방향(상·하)에 따른 스킨답서스의 생장반응을 15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적인 식물 생장 환경조건인 광원이 위에 있고 줄기를 위로 유인한 처리를 제외하고는 광 원이 아래에 위치하거나 줄기를 아래로 유인한 처리에서는 굴 곡과 뒤틀림 정도가 매우 컸다. 이것은 굴광성과 항굴지성에 대한 식물체 지상부의 반응 결과이며, 굴광성과 항굴지성의 경합반응은 식물체 아래 광원이 위치하고 줄기를 아래로 유인 했을 때 더욱 뚜렷하였다. 광원의 위치와 줄기 유인방향에 따 른 스킨답서스의 생장 반응은 굴광성과 항굴지성으로 설명 가 능하며 굴광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Epipremnum aureum, a climbing foliage species, is widely used for indoor green walls. It shows different growth responses according to stem training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However, this phenomenon has not yet been specifically reported. In this study, the combined effect of lighting position (top and bottom) and stem training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on tropism and growth response of E. aureum was examined for 15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top lighting and stem training in an upward direction, all other treatm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torsion and twist. These were more pronounced in the bottom lighting and downward stem training treatments, which were caused by a conflict between the phototropism and negative gravitropism of E. aureum.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rowth response of E. aureum is more influenced by phototropism.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및 처리내용
    생장 및 굴성 반응 조사
    광합성과 엽록소형광 측정
    동화산물과 IAA 분석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생장 반응
    잎의 형태형성
    광합성
    엽록소 형광
    동화산물 축적 및 IAA 함량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Min Kyung Lim(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임민경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Wan Soon Kim(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 김완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